[강연] 단국대 한문교육연구소 콜로키움 강연 안내
– 일시: 2023년 8월 25일 금요일 오후 15:00~17:00 – 장소: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사범관 504호 – 주제: 한국문집총간 XML 구조 이해와 Python을 활용한 파싱 실습 – 강연자: 김병준(KAIST) Zoom https://us02web.zoom.us/j/5451262790?pwd=N0JRb3B1R2cxTjdCVEhJS2xNNkdMQT09
– 일시: 2023년 8월 25일 금요일 오후 15:00~17:00 – 장소: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사범관 504호 – 주제: 한국문집총간 XML 구조 이해와 Python을 활용한 파싱 실습 – 강연자: 김병준(KAIST) Zoom https://us02web.zoom.us/j/5451262790?pwd=N0JRb3B1R2cxTjdCVEhJS2xNNkdMQT09
“즉 DH에서 연구자가 자신의 주장을 논증하는데 데이터는 꼭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인문학 연구에서 사료나 선행연구가 아닌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는 일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DH 연구에서 연구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고 있다. 이는 두 가지 문제를 낳는데 하나는 연구 재현성의 부족이며 또 다른 하나는 다른 연구로 파생할 수 있는 DH의 장점을 막는 문제이다.” 김병준(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 Read more
https://hss.kaist.ac.kr/boards/view/news_event/230
GPT 3.5 버전을 활용한 텍스트에서 지식 그래프 자동 추출하는 서비스. 한국어도 활용 가능. 🦜🔗 Text-to-graph extraction · Streamlit (auto-graph.streamlit.app) This playground explores the use of OpenAI functions and LangChain to build knowledge graphs from user-input text. It breaks down the user input text into knowledge graph triples of subject (primary entities or concepts in a sentence), predicate (actions or … Read more
데이터 논문 vs 전통적인 연구 논문 “Should you publish a #datapaper or a #researchpaper first?” Data Paper vs. Traditional Research Paper: Expert Discussion at the Journal of Open Humanities Data – YouTube
2023학년도 2학기,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박수민 교수님 GitHub – suparklingmin/LingDataSci2023: 언어데이터과학 (2023학년도 2학기,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이번에 그라츠에서 열린 행사는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 협의회(Korean Association for Digital Humanities, KADH, 회장 박진호)에게는 매우 뜻깊은 자리였다. 학술대회 기간에 있었던 총회를 통해서 한국이 ADHO의 열세 번째 기관회원(Constituent Organization)으로 승인을 받았기 때문이다. 2018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김현 교수를 위시한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자들이 시작했던 신청절차가 코로나 시국과 같은 여러 어려움을 겪고 드디어 마침표를 찍은 것인데, 학술대회 개막식에서 ADHO … Read more
NARA.Labs 나라지식정보부설연구소 (naraai.net)에서 개발 승정원 일기 기반 한문 개체명 인식(NER) 모델 허깅페이스 링크: Nara-Lab/History_NER · Hugging Face 관련 논문 : [2306.14592] Transfer Learning across Several Centuries: Machine and Historian Integrated Method to Decipher Royal Secretary’s Diary (arxiv.org)
[한국종교학회 온라인 집담회] – 주제: 디지털 인문학과 디지털 종교문화 – 일시: 2023년 8월 12일 오후 2시~4시 (각 40분 발표, 20분 질의응답) – 장소: ZOOM 화상회의 디지털 시대에 많은 문화가 디지털 기반으로 형성되고 유행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기반 종교문화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해서 인문학 연구를 시도하는 ‘디지털 인문학’이 최근 10년 사이에 부상하고 있다. 디지털 인문학과 그 방법론을 이해하는 것은 새로운 문화 … Read more
모집과정 : 디자인·디지털인문예술학 00명 (디지털인문학 트랙) 원서접수 : 23.08.01(화) ~ 23.08.07(월) https://online.hallym.ac.kr/online/admission/admission-guide.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