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지도: 방임형 vs 관리형 by 현대문학자통신

지난 12월 18일부터 1월 5일까지 진행한 <한국현대문학 대학원생에게 묻는다> 설문조사가 마무리됐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6개 항목(정체성 / 논문 지도 / 대학원 생활 및 네트워크 / 공간 / 자기 돌봄 / 생계) 총 4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대학원생의 학업 및 생활 전반에 관한 여러 목소리들을 모아봤습니다. 그 결과 무려 65명의 대학원생 분들이 소중한 의견을 나눠주셨습니다. 다소 진지하고 날카로운 질문들에도 성심성의껏 답해주신 모든 … Read more

How AI is unlocking ancient texts — and could rewrite history

네이처의 실린 기사, “AI가 고대 문자를 해독하고 역사를 다시 쓰는 방법”. 아래는 한국 사료 사례. “South Korean researchers, meanwhile, are facing very different challenges as they tackle one of the world’s largest historical archives: detailed daily records with hundreds of thousands of articles covering the reigns of 27 Korean kings, dating from the fourteenth to … Read more

[중국뉴스] 유장儒藏 디지털화

《儒藏》数字化:一项文化工程与它的时代呼应 2024년 12월 9일에 북경대학교 <유장儒藏> 디지털화 프로젝트 기동의식이 열렸고, 2500만 위엔(한국돈 50억원)이 투자되었고, 识典古籍 https://www.shidianguji.com/ 을 통해서 공개될 예정이다. 2024年12月9日下午,“北京大学《儒藏》数字化项目启动仪式”在北京大学教育基金会举办,北京字节跳动公益基金会再向北京大学教育基金会捐赠人民币2500万元,用于支持北京大学开展《儒藏》编纂与研究工作。 未来,全本《儒藏》编纂成果将陆续在“识典古籍”阅读端上线,实现全民共享,那些在历史长河中流淌的珍贵文字,将能更方便地被检索和阅读。 바로 잡상: <유장儒藏> 을 만들 수 있는 예산과 인력. 그것을 다시 디지털화 할 수 있는 예산과 인력. 부럽다. 다만, 어차피 할 것이었으면, 처음부터 디지털화를 하지. 데이터 스키마가 어떻게 되려나? 그런데 어차피 RAWDATA도 공개 … Read more

RIG(Retrieval Interleaved Generation)

RAG와 RIG는 모두 검색(Retrieval) 기술을 활용하여 생성(Generation)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론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두 방법론을 비교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2. RIG (Retrieval Interleaved Generation) 3. 비교 요약 특징 RAG RIG 검색 시점 생성 전 생성 중 (필요 시) 검색 빈도 일반적으로 한 번 여러 번 (필요한 만큼) 효율성 상대적으로 낮음 … Read more

[뉴스] 디지털 인문학은 얼마나 넓고 깊을까…정기 학술대회 열린다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KADH)에서 주관하는 이번 학술대회는 매년 가을 해당 협의회에서 개최하는 정기 디지털인문학대회로서, 올해는 〈디지털 인문학의 넓이와 깊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의 학술장 내 디지털 인문학의 현 위치와 미래를 전망하고, 이를 통해 연구의 확산과 심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어학, 문학, 역사학, 철학 등 개별 인문학 분야에서 디지털 인문학적 문제의식을 적극적으로 전개 중인 여러 연구자들의 발표를 통해서는,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 Read more

단국대, SW/AI 교육 전담 교수 제도 도입

“2단계 사업을 통해 단국대는 17개 단과대학에 AI-PD교수 310명을 배치하고 총 19개의 필수교양 교육과정을 새로 개발했다. 2025년부터 연간 3천 명 이상이 SW/AI 교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최소 96개 분반을 운영할 계획이다. 새로 도입되는 SW/AI 교과목은 △LLM기반 서비스 개발의 이해(SW융합대학) △인공지능과 인문학(문과대학) △챗GPT와 디지털 윤리(음악예술대학) △AI를 활용한 스포츠 코칭(스포츠과학대학) △경영 경제분야 AI활용 입문(경영경제대학) △교육과 인공지능(사범대학)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 Read more

[뉴스] 동국대, 뉴미디어한국어문화학 전공 신설로 디지털 인문학 새 지평 열어

[한국대학신문 이정환 기자] 동국대학교(총장 윤재웅)는 2025학년도부터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에 뉴미디어한국어문화학 전공을 신설해 3개 전공 체제로 개편한다고 밝혔다. 새롭게 신설되는 전공은 <뉴미디어한국어문화>, <한류/K콘텐츠>, <뉴미디어콘텐츠>, <AI 한국어문화콘텐츠 제작>의 4개 전문 트랙으로 구성됐다. 각 트랙마다 ‘한국문화와 미디어론 입문’이나 ‘디지털 시대의 한국어문화’와 같은 학문적 이론 중심 과목과, ‘웹콘텐츠 기획과 제작 연습’, ‘AI 창작 프로젝트’ 등의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중심 … Read more

[2024-2025 겨울학기]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대학원 인턴십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대학원 인턴십 프로그램이 국내외 학부생 및 석사생을 대상으로 시행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24-2025년 겨울학기에는 디지털인문학, 계산사회과학 그리고 언어·심리과학 분야 3분의 교수님들께서 인턴십 프로그램을 진행하십니다.  구체적인 정보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