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에이닷 엑스(A.X) 4.0
https://huggingface.co/skt https://huggingface.co/skt/A.X-4.0 https://huggingface.co/skt/A.X-4.0-Light https://github.com/SKT-AI/A.X-4.0 바로: Qwen2.5 기반 72B 표준모델 / 7B 미니모델 웹 데이터, 전문 서적, 합성 데이터 등 한국어 42%, 영어 51%, 기타 언어 코드 7%
https://huggingface.co/skt https://huggingface.co/skt/A.X-4.0 https://huggingface.co/skt/A.X-4.0-Light https://github.com/SKT-AI/A.X-4.0 바로: Qwen2.5 기반 72B 표준모델 / 7B 미니모델 웹 데이터, 전문 서적, 합성 데이터 등 한국어 42%, 영어 51%, 기타 언어 코드 7%
HyperCLOVA X SEED는 한국어 성능에 중점을 둔 NAVER의 가벼운 오픈소스 라인업입니다. https://huggingface.co/naver-hyperclovax https://huggingface.co/naver-hyperclovax/HyperCLOVAX-SEED-Text-Instruct-1.5B https://huggingface.co/naver-hyperclovax/HyperCLOVAX-SEED-Text-Instruct-0.5B https://huggingface.co/naver-hyperclovax/HyperCLOVAX-SEED-Vision-Instruct-3B 공식 소개 https://clova.ai/tech-blog/ai-%EC%83%9D%ED%83%9C%EA%B3%84%EC%97%90-%EC%94%A8%EC%95%97%EC%9D%84-%EB%BF%8C%EB%A6%AC%EB%8B%A4-%EC%83%81%EC%97%85%EC%9A%A9-%EC%98%A4%ED%94%88%EC%86%8C%EC%8A%A4-ai-hyperclova-x-seed 바로: 말 그대로 가벼운 모델
https://huggingface.co/K-intelligence 이 공간은 KT의 대규모 언어 모델인 Mi:dm을 소개합니다. Mi:dm 언어 모델군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해당 모델 적용을 위해 설계된 도구, 그리고 기술 문서를 제공합니다. KT의 한국 중심 AI 모델 – Mi:dm 2.0 https://huggingface.co/K-intelligence/Midm-2.0-Base-Instruct https://huggingface.co/K-intelligence/Midm-2.0-Mini-Instruct KT 공식 믿음 2.0 소개 페이지 https://enterprise.kt.com/pd/P_PD_NE_00_316.do 바로: 데이터 소스는 한국의 교육용 도서, 문학 작품 등의 출판물과 법류 및 특허 … 더 읽기
2025 언어학 학교, 여름보다 뜨거운 학문의 장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한국언어학회가 준비한 특별한 강의 라인업을 소개합니다. 언어학의 다양한 분야를 대표하는 최고의 강의가 여러분을 기다립니다.사회, 심리, 데이터, 인공지능까지 — 언어학의 경계를 확장하는 여정을 함께하세요! 강의 프로그램 박수민 교수 (서울대)“Python을 활용한 언어학 통계 입문”데이터 기반 언어 연구의 첫걸음, 프로그래밍으로 통계를 시작하세요.(총 8시간: 1시간씩 8회) 김정윤 교수 (부산대)“사회음성학? 말소리를 통해 인간과 사회를 들여다보는 과학!”사회와 정체성을 반영하는 … 더 읽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학센터에서 제23기 사전편찬교실을 개최합니다. 이번 사전편찬교실은 정보화 시대에 부합하는 어휘 지식의 수집, 구축, 공유 역량을 함양하고자 하는 연구자 및 디지털 인문학에 관심 있는 분들께 오픈사전PRO와 코퍼스를 실제 사전 편찬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실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이번 강좌는 대면 강의로 진행됩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직접 소통하고, 주요 사전 자료를 실제로 열람·분석하는 시간을 통해 이론과 실무를 균형 있게 익힐 수 있습니다. 사전 … 더 읽기
2025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 지원 사업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디지털인문학 관련은 https://www.kadh.org/category/scholarship/프로젝트 에 모아 두었습니다. 일부 누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빠져 있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셔요. 특히 B유형은…지옥이라서 대충대충 봤습니다. 학술연구교수 선정률은 A는 28%, B는 36%으로, 여전히 치열하긴 하지만, 정부에서 밀어주는?! 사업이다보니 경쟁이 그나마 나아졌군요. 새싹에 대한 지원이 많은 것은 한국 학술생태계에 분명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쪽의 경쟁이 … 더 읽기
이창민 / 한국예술종합학교 / R 기반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제작 경향 연구 / 2천만 / 12개월 / 2025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박사 연구목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시대 구분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새로운 시대 구분을 제안하는 동시에, 시대별 창작 경향의 변화를 객관적이고 포괄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 더 읽기
서경숙 / 충남대학교 / 문학과 코딩의 융합 교육: 가상현실과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 도구의 활용을 중심으로 / 2천만 / 12개월 / 2025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박사 연구목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VR) 및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도구를 활용하여 문학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동시에 인문학 전공자들이 코딩 및 디지털 기술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육적 게이트웨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 더 읽기
김연정 / 인천대학교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기후변화와 바이러스 재난 서사의 의미망 분석: 세쿼이아 나가마츠의『어둠 속에서 우리는 얼마나 높이 올라갈 수 있는가』를 중심으로 / 2천만 / 12개월 / 2025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박사 연구목표: 본 연구는 미국 작가 세쿼이아 나가마츠(Sequoia Nagamatsu)의 소설 『우리가 어둠 속에서 얼마나 높이 올라갈 수 있는가』(How High We Go in the Dark, … 더 읽기
최주찬 / 성균관대학교/ 1930년대 전반기 한국 프로문학운동의 ‘체험적 글쓰기’ 형성 연구 -잡지 및 검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 2천만 / 12개월 / 2025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석사 연구목표: 본 연구는 한국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의 주변부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체험적 글쓰기’라는 개념을 정초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구명할 수 있는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 본 연구에서는 1932년 『조선지광』의 폐간 이후로부터 1935년까지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