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지훈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1930년대 조선 문화예술계의 인적 네트워크 고찰: <윤봉춘 일기(1935-1937)>를 중심으로 / 2025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석지훈 / 연세대학교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1930년대 조선 문화예술계의 인적 네트워크 고찰: <윤봉춘 일기(1935-1937)>를 중심으로 / 2천만 / 12개월 / 2025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석사 연구목표: 본 연구의 목표는 1930년대 일제강점기 한국의 문화예술계에서 활동했던 인물들의 관계망을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해 탐구하고, 이를 통해 당시 문화예술의 지형과 역학 관계를 보다 온전하고 포괄적으로 조망하는 데 있다.그동안 한국 … 더 읽기

박형진 / 문예지의 구조변동과 한국 소설(가)의 변화 -1993-2012년도 <문예연감> 수록 문예지 소설을 중심으로- / 2025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박형진 / 성균관대학교/ 문예지의 구조변동과 한국 소설(가)의 변화 -1993-2012년도 <문예연감> 수록 문예지 소설을 중심으로- / 2천만 / 12개월 / 2025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석사 연구목표: 본 연구는 민주화 이후 한국 소설 문학장의 변화를 거시적으로 살피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 작업으로 1993년부터 2002년까지 주요 ‘문예지’ 소재 소설(가)에 대한 통계자료를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여 한국 문학장의 … 더 읽기

박유빈 / DH(디지털 인문학)와 HI(human intelligence)의 공진화(共進化): 중국 고전 시 교육을 위한 4C/ID 기반 하이브리드 교수-학습 모델 연구 / 2025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박유빈 / 전북대학교 / DH(디지털 인문학)와 HI(human intelligence)의 공진화(共進化): 중국 고전 시 교육을 위한 4C/ID 기반 하이브리드 교수-학습 모델 연구 / 2천만 / 12개월 / 2025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석사 연구목표: ≪강의 트렌드 2025≫에 따르면, 생성형 AI의 확산으로 인해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라는 질문이 대한민국 교육 전반에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 더 읽기

최숙기 / 초거대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 기반 한국어 에세이 피드백 학습 데이터셋 구축 및 AI 모델 개발 연구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최숙기 / 한국교원대학교 / 초거대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 기반 한국어 에세이 피드백 학습 데이터셋 구축 및 AI 모델 개발 연구 / 7천만 / 36개월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목표: 본 연구는 최근 교육 평가 패러다임이 선택형 평가에서 서·논술형 평가로 전환되면서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문제 해결력 및 표현력 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사회적·교육적 흐름을 배경으로 … 더 읽기

장원재 / 근대 한일 어휘의 품사 대응에 관한 대조연구–단어 정렬 병렬코퍼스의 확장 구축을 통하여-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장원재 / 계명대학교 / 근대 한일 어휘의 품사 대응에 관한 대조연구–단어 정렬 병렬코퍼스의 확장 구축을 통하여- / 4.8천만 / 24개월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목표: 현대 한국어와 일본어에 공통 어휘가 상당수 존재하는 것은 한일 각각의 언어에 오랜 세월 중국과의 교류 및 어휘 유입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근대 이후의 신문명 어휘교류 결과도 무시할 수 없는 현상이다. 宮島(1967, 1994)의 … 더 읽기

유석환 / 근현대 일기의 역사적 양상과 사적 서사의 서사학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유석환 / 성균관대학교 / 근현대 일기의 역사적 양상과 사적 서사의 서사학 / 5.8천만 / 120개월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목표: 이 연구의 목적은 글쓰기의 실천에 작용하는 다양한 힘들을 대상화하는 한편, 그런 힘들에 저항‧타협‧공조‧갈등하는 서사의 내재적 연속성 및 불연속성에 주목함으로써 서사의 역사적 양상을 장기적‧구조적 관점에서 검토하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서사를 두 가지 차원, 곧 … 더 읽기

송상헌 / 언어모델을 활용한 한국 정치 텍스트 분석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송상헌 / 고려대학교 / 언어모델을 활용한 한국 정치 텍스트 분석 / 2.4천만 / 12개월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목표: 본 연구는 한국어 언어모델을 활용하여 한국 정치 텍스트의 이념적 스펙트럼을 분석하고, 모델에 내재한 정치적 편향성을 체계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 정치의 특수성을 반영한 벤치마크를 개발하여 기존의 편향성 연구가 주로 영어와 서구권 데이터에 한정된 한계를 보완하고자 한다. … 더 읽기

성윤아 / 근대 조선어 학습서의 변천과 한일 언어 교류 : 디지털 인문학과 빅데이터 분석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성윤아 / 상명대학교 / 근대 조선어 학습서의 변천과 한일 언어 교류 : 디지털 인문학과 빅데이터 분석 / 6천만 / 120개월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목표: 본 연구는 근대 조선어 학습서의 변천과 한일 언어 교류를 디지털 인문학과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선어 학습서는 단순한 외국어 교재가 아니라, 당시 일본 사회에서 조선어를 습득하는 방식과 … 더 읽기

남호연 /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 기반 조선시대 표류민 송환노정의 지리공간 네트워크 모델 개발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남호연 / 공군사관학교 /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 기반 조선시대 표류민 송환노정의 지리공간 네트워크 모델 개발 / 6.2천만 / 36개월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목표: 디지털 플랫폼의 발전과 생성형 AI의 부상으로 지식의 공공성과 확장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디지털 역사학(Digital History)은 역사 연구에 GIS(지리정보시스템) 등을 활용하며, 한국사 연구에서도 다양한 성과가 축적되고 있다. 특히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 연구는 … 더 읽기

남길임 / 주제 특정적 말뭉치를 위한 말뭉치언어학의 과학적 방법론 개발과 적용-이주민 담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남길임 / 연세대학교 / 주제 특정적 말뭉치를 위한 말뭉치언어학의 과학적 방법론 개발과 적용-이주민 담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 7.6천만 / 36개월 / 2025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목표: 말뭉치의 구축과는 별도로 말뭉치언어학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따라서 말뭉치 활용의 언어학적 의의, 말뭉치언어학의 이론적 정체성 등에 대한 논의는 ‘말뭉치는 언어 연구에 아무 의미가 없다’(Chomsky의 인터뷰, Andor(2004:79))는 논의에서부터 ‘말뭉치 자체가 이론’(Tognini-Bonelli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