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오픈클래스] 디지털 한국어문학 연구를 위한 데이터 처리 시리즈
디지털한국어문학 연구를 위한 데이터 처리 시리즈 (총 18강 예정) 강의자 : 김바로, 김병준, 유인태 주관 :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 교육연구단 아래 유튜브 채널을 구독 추천합니다.
디지털한국어문학 연구를 위한 데이터 처리 시리즈 (총 18강 예정) 강의자 : 김바로, 김병준, 유인태 주관 :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 교육연구단 아래 유튜브 채널을 구독 추천합니다.
We welcome a distinguished guest, Prof. Dr. Andreas Fickers, the director of the Luxembourg Centre for Contemporary and Digital History (C²DH), to deliver a keynote talk about digital history. We will also have presentations from three early-career digital history scholars from Japan and discuss the concepts and practices of digital history. Basic Information Date 14:00-17:30, … 더 읽기
In Chinese studies, understanding the nuanced traits of historical figures, often not explicitly evident in biographical data, has been a key interest. However, identifying these traits can be challenging due to the need for domain expertise, specialist knowledge, and context-specific insights, making the process time-consuming and difficult to scale. Our focus on studying officials from … 더 읽기
안녕하십니까. 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에서 제12회 한연포럼(구 전문가 강연회)을 개최합니다. 중국 남경사범대학 문학원 교수로 계신 리빈(李斌) 선생님을 모시고 ‘AI시대 고적 지식베이스의 구축과 응용’이라는 주제로 강연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일시: 2024년 3월 5일 화요일 오후 3시 · 장소: Webninar Zoom · Zoom ID: 545 126 2790 (PW:1234) / https://us02web.zoom.us/j/5451262790?pwd=WnNpVkY3QmhIY2ZpMHdPUFVYQ3JqUT09&omn=82789414499 · 주제: AI시대 고적 지식베이스의 구축과 응용 · 강연자: 리빈(李斌, 남경사범대학 문학원) 어렵게 모신만큼 … 더 읽기
2024년 지식공유연대 심포지엄“공통장으로서의 학술장: 학술지의 OA 전환과 K-학술지 전망” 공동주최: 지식공유연대(새로운 학문 생산 체제와 ‘지식 공유’를 위한 학술단체와 연구자 연대) 제주대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사)지식공유 연구자의 집 일시: 2024년 2월 23일(금) 14:00 ~ 17:30 장소: R커먼즈 합정 지식공유연구자의 집(마포구 동교로 17안길 18, 2층) 온라인: Zoom 회의 ID: 932 1522 7525암호: 1234https://zoom.us/j/93215227525?pwd=QTJsUUhUSFk5YTlRL3VRQkx5bmdIZz09 시간 프로그램 14:00– 14:30 … 더 읽기
일본 인문정보학 연구소에서 만든 동아시아 고전적 TEI 뷰어 버전 0.1 버전 공개 https://tei.dhii.jp/teiviewer4eaj
안녕하십니까, 국립중앙도서관 연구정보실입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장서를 활용한 국내외 연구자의 학술연구활동을 지원하고, 연구자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연구정보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연구자 및 차세대연구자의 디지털-인문학 융합연구 지원을 위해, ‘2024 고문헌(근대자료) 원문텍스트 구축 자료’의 데이터를 활용한 연계 과제 수요조사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오니, 연구자께서는 협조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가. 조사 개요 o 조사 대상: 디지털인문학 연구자 o 조사 기간: 2024. 2. 19.(월) … 더 읽기
안녕하십니까, 국립중앙도서관 연구정보실입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연구자 및 차세대연구자의 디지털-인문학 융합연구를 위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원문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지털인문학 프로그램’을 신설하였습니다. (*서비스 개시일: ’24. 2. 19.)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데이터지원] 디지털인문학 프로그램’ 개요 o (목 적) 연구자의 학술연구 지원을 위한 도서관 원문데이터 제공 o (대상자) 개인연구자 o (연구단위) 연구자 단독(1인) 또는 소규모 공동 연구 o (연구과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원문데이터를 대상으로 디지털인문학적 … 더 읽기
안녕하세요.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제4단계 BK21사업단(2020-2027년)에서 다음과 같이 신진연구인력을 충원합니다. ■ 모집 – 신진연구원 1-2명 – 업무내용 : 각종 사업단 위원회 업무, 학술 워크숍과 특강 운영 ■ 지원자격 – 어학, 문학, 디지털인문학 박사 – 전일제 근무 및 영어강의 가능자 – 해외저널 게재 가능자 (투고 혹은 게재한 논문이 있다면 증빙제출) – 임용시 주당 강의시간이 6시간을 초과하지 않아야 … 더 읽기
Researchers used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cipher the text of 2,000-year-old charred papyrus scripts, unveiling musings on music and capers. (DeepL 번역) “연구원들은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2,000년 전 불에 탄 헤라클레니움 두루마리의 텍스트를 해독하고 감각과 쾌락에 대해 논의하는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은 철학적 작품을 공개했습니다.”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4-00346-8?utm_medium=Social&utm_campaign=nature&utm_source=Twitter&error=cookies_not_supported&code=e866a3fa-6d11-4628-b89a-f178524725c2#Echobox=1707478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