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Network analysis reveals news press landscape and asymmetric user polarization

※ 학술지: Physica A: 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 논문명: Network analysis reveals news press landscape and asymmetric user polarization

※ 논문링크: https://doi.org/10.1016/j.physa.2025.130842

– 관련뉴스: https://www.skku.edu/skku/campus/skk_comm/news.do?mode=view&articleNo=129197

Abstract

Unlike traditional media, online news platforms allow users to consume content that suits their tastes and to facilitate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However, as more personalized consumption of information and interaction with like-minded users increase, ideological bias can inadvertently increase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echo chambers, reinforcing the polarization of opinions. Alth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olarization among different ideological groups in online space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research into how these groups emotion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has not been as thoroughly explored. From this perspective, we investigate both structural and affective polarization between news media user groups on Naver News, South Korea’s largest online news portal, during the period of 202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By utilizing the dataset comprising 333,014 articles and over 36 million user comments, we uncover two distinct groups of users characterized by opposing political leanings and reveal significant bias and polarization among them. Additionally, we reveal the existence of echo chambers within co-commenting networks and investigate the asymmetric affectiv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he two polarized groups. Classification task of news media articles based on the distinct comment response patterns support the notion that different political groups may employ distinct communication strategies. Our approach based on network analysis on large-scale comment dataset offers novel insights into characteristics of user polarization in the online news platforms and the nuanced interaction nature between user groups.

네트워크 분석으로 드러난 언론 지형과 사용자 양극화의 비대칭성

기존 미디어와 달리, 온라인 뉴스 플랫폼은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소비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정보의 개인화된 소비와 생각이 비슷한 사용자들과의 상호작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념적 편향이 의도치 않게 증가하고 반향실(echo chamber) 형성으로 이어져 의견 양극화를 강화할 수 있다. 온라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이념 집단 간 양극화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지만, 이들 집단이 서로 어떻게 감정적으로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2022년 한국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대한민국 최대 온라인 뉴스 포털인 네이버 뉴스에서 뉴스 미디어 사용자 그룹 간의 구조적 및 정서적 양극화를 모두 조사한다. 333,014개의 기사와 3,600만 개 이상의 사용자 댓글로 구성된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우리는 상반된 정치적 성향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뚜렷한 사용자 집단을 발견하고 이들 사이의 상당한 편향과 양극화를 밝혀낸다.

또한, 공동 댓글 네트워크 내에 반향실이 존재함을 밝히고, 양극화된 두 집단 사이의 비대칭적인 정서적 상호작용 패턴을 조사한다. 뚜렷하게 구분되는 댓글 반응 패턴에 기반한 뉴스 미디어 기사 분류 과제는, 서로 다른 정치 집단이 각기 다른 소통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는 개념을 뒷받침한다. 대규모 댓글 데이터셋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우리의 접근 방식은 온라인 뉴스 플랫폼에서의 사용자 양극화 특성과 사용자 그룹 간의 미묘한 상호작용 본질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번역: Gemini 2.5 Pro. 2025.08.29.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