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9392-2
데이터&코드:
https://github.com/ComplexityBiosystems/GreatFear/
https://dataverse.unimi.it/dataset.xhtml?persistentId=doi:10.13130/RD_UNIMI/X5LI3X
팟캐스트(유튜브) 컨텐츠: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5-02749-7
피어리뷰:

Epidemiology models explain rumour spreading during France’s Great Fear of 1789
- Stefano Zapperi,
- Constant Varlet-Bertrand,
- Cécile Bastidon,
- Caterina A. M. La Porta &
- Antoine Parent
Nature (2025)Cite this article
- 426 Accesses
- 131 Altmetric
- Metricsdetails
Abstract
The Great Fear of 1789, a wave of panic and unrest in rural France fuelled by the spreading of rumours, was an important moment at the onset of the French Revolution, marking the collapse of feudalism and the rise of the new regime1. The Great Fear provides a vivid example of the role the spreading of rumours has in driving political changes that might be relevant today2,3. Here, we collect existing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the Great Fear and use epidemiology tools and models4 to reconstruct the network of its transmission from town to town. In this way, we quantify the spatiotemporal spread of the rumours and compute key epidemiological parameters, such as the basic reproduction number. Exploiting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of the road network in eighteenth century France5, we estimate the most probable diffusion paths of the Great Fear and quantify the distribution of spreading velocities. By endowing the nodes in our reconstructed network with indicators related to the institutional,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of the time6, including literacy, population size, political participation, wheat prices7,8, income and ownership laws9, and the unequal distribution of land ownership, we compute factors associated with spread of the Great Fear. Our analysis sheds light on unresolved historiographic issues on the significance of the Great Fear for the French Revolution, providing a quantitative answer to the unresolved debate between the role of emotions and rationality in explaining its diffusion.
역학 모델로 프랑스 대공포 시기(1789)의 루머 확산을 설명하다
스테파노 자페리, 콘스탄트 발레-베르트랑, 세실 바스티동, 카테리나 A. M. 라 포르타 & 앙투안 파랑 Nature (2025)
초록
1789년의 대공포는 루머 확산으로 촉발된 프랑스 농촌의 공황과 불안의 물결로, 프랑스 혁명 초기의 중요한 사건이었으며 봉건제도의 붕괴와 새로운 체제의 부상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¹. 대공포는 루머 확산이 정치적 변화를 이끄는 역할에 대한 생생한 사례를 제공하며, 이는 오늘날에도 유의미할 수 있습니다²,³.
본 연구에서는 대공포와 관련된 기존의 역사 기록을 수집하고, 역학 도구와 모델⁴을 사용하여 도시 간 전파 네트워크를 재구성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루머의 시공간적 확산을 정량화하고, 기초감염재생산수와 같은 핵심적인 역학적 매개변수를 계산합니다. 18세기 프랑스의 도로망 구조에 대한 정보⁵를 활용하여, 대공포의 가장 가능성 있는 확산 경로를 추정하고 확산 속도의 분포를 정량화합니다.
또한, 재구성된 네트워크의 각 노드(도시)에 당시의 제도적,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조건⁶(문해율, 인구 규모, 정치 참여, 밀 가격⁷,⁸, 소득 및 소유권법⁹, 토지 소유의 불평등한 분배 등)과 관련된 지표를 부여함으로써, 대공포 확산과 관련된 요인들을 계산합니다.
우리의 분석은 프랑스 혁명에서 대공포가 갖는 중요성에 대한 미해결된 역사학적 쟁점들을 조명하며, 그 확산을 설명하는 데 있어 감정과 합리성의 역할에 대한 오랜 논쟁에 정량적인 해답을 제공합니다.
번역: Gemini 2.5 Pro. 2025.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