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瑜伽師地論》資料庫電子佛典製作與應用之研究
Yogācārabhūmi Database:A study on Creation and Application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유가사지론》(Yogācārabhūmi)은 인도 대승불교 유가행파(瑜伽行派)와 중국 법상종(法相宗)의 연원이며, 현장(玄奘)이 서역으로 경전을 구하러 간 동기이기도 합니다. 내용은 요가 수행자(선승)의 수행 단계와 경지에 관한 백과사전입니다.
본 데이터베이스는 TEI 태그셋(tag sets)을 사용하여 《유가사지론》의 이역본, 주석서,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등 전자 자료를 마크업(markup)하고, 그 구조적 특징(structural features)을 상호 참조(cross-reference) 표시하여 서로 대조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내용 설명 「내용 약어 및 약호」를 참고하십시오.
인터페이스 기능 「대조 열람 인터페이스」, 「전체 텍스트 검색」, 「해제(解題)」, 「다운로드」 및 「인용 복사」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교감 원칙 본 데이터베이스의 문헌 교감 원칙은 〈CBETA 문헌 교감 지침서〉를 참고하였습니다.
본 데이터베이스는 1999년 8월 1일부터 2002년 7월 31일까지 국과회(國科會, 국가과학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그 후, 2016년부터 임정남(林政男) 거사님의 특별 기부금으로 본 데이터베이스의 유지보수 및 확장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법고인문학술원(法鼓文理學院) DILA, 2024 본 데이터베이스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라이선스(CC BY-SA 4.0)에 따라 이용이 허가되었습니다.
번역: Gemini 2.5 Pro. 2025.05.21.
바로: 예쁘지 않다. 그러나 그 데이터는 생성AI 시대에도, 아니 생성AI시대에 인간에 의해서만 온전히 만들어 질 수 있는 데이터다. 무엇보다 전체 데이터 다운로드가 된다! 우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