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영 / 경북대학교 / 한국목록규칙과 링크드 데이터를 활용한 고문헌 목록의 디지털 전환 연구 / 40,000 / 24개월 / 2025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연구목표:
본 연구는 고문헌 목록 기술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최신 목록 규칙인 KCR5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며, 나아가 링크드 데이터 기반의 목록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고문헌 목록은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대학도서관 등에 분산되어 있으며, 기관마다 목록 기술 방식이 달라 효율적인 정보 통합이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KCR4 기반으로 구축된 기존 목록 체계는 고문헌의 특수한 서지적 속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동일 저작의 다른 판본이나 저자의 다양한 저작 간 관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CR5의 적용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고, 궁극적으로 고문헌 목록을 디지털 환경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연구의 기대효과는 학술적, 실무적 측면에서 모두 중요하다. 학술적으로는 KCR5 기반 고문헌 목록화의 가능성을 최초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목록 담당자의 경험을 반영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링크드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단절된 고문헌 목록을 연결함으로써 데이터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실무적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 대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의 주요 고문헌 관리 기관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목록 기술 방식을 개선할 수 있으며, 기관 간 협력을 통해 고문헌 정보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디지털 환경에서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요약: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KCR4 기반의 고문헌 목록 현황을 분석하고, 목록 담당자 및 연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여 실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조사한다. 이후 KCR5와 기존 목록 규칙을 비교하여 KCR5가 고문헌 목록 작성에 미칠 영향을 검토하고, 일부 목록에 KCR5를 시범 적용하여 실무 적합성을 평가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링크드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고문헌 목록을 RDF 구조로 변환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목록의 연계성과 확장성을 높일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고문헌 목록의 표준화 및 연계 가능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연구자와 이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고문헌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