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경》 대조 열람 데이터베이스

https://sdp.dila.edu.tw 《法華經》對讀資料庫Saddharmapuṇḍarikasūtra Database 《묘법연화경》(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데이터베이스 소개: 《묘법연화경》은 대승불교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영향력이 깊은 경전 중 하나이며, ‘경중지왕(經中之王)’으로 존칭됩니다. 이 경전은 ‘삼승은 방편이요, 일승만이 구경(궁극)’이라는 사상으로 대승의 중생 평등이라는 자비와 지혜의 함의를 열어 보입니다. 한자 문화권에 유통된 주요 역본으로는 서진(西晉) 시대 축법호(竺法護) 역 《정법화경(正法華經)》, 요진(姚秦) 시대 구마라집(鳩摩羅什) 역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수(隋)나라 시대 사나굴다(闍那崛多)와 달마급다(達摩笈多) 공역 《첨품묘법연화경(添品妙法蓮華經)》 세 … 더 읽기

[웹서비스]《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데이터베이스

https://sdp.dila.edu.tw 《瑜伽師地論》資料庫電子佛典製作與應用之研究Yogācārabhūmi Database:A study on Creation and Application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유가사지론》(Yogācārabhūmi)은 인도 대승불교 유가행파(瑜伽行派)와 중국 법상종(法相宗)의 연원이며, 현장(玄奘)이 서역으로 경전을 구하러 간 동기이기도 합니다. 내용은 요가 수행자(선승)의 수행 단계와 경지에 관한 백과사전입니다. 본 데이터베이스는 TEI 태그셋(tag sets)을 사용하여 《유가사지론》의 이역본, 주석서,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등 전자 자료를 마크업(markup)하고, 그 구조적 특징(structural features)을 … 더 읽기

경산장《径山藏》 디지털화 프로젝트

https://www.rushi-ai.com/JS 북경여시인공지능기술연구원이 주도하고 항저우 영은사가 협력하는 ‘경산장 디지털화 프로젝트’는 첨단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수록 경전의 양과 내용적 가치가 독보적인 한문 불교 대장경 《경산장》을 디지털 형태로 구축함으로써 학술적 활용을 증진하고 귀중한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18년 기술 연구를 시작으로 2020년 본격 착수된 이 프로젝트는 《경산장》 원본의 체계적인 분할, 교열, 형식 표점 등의 디지털화 단계를 거쳐 … 더 읽기

[웹서비스] CBETA Semantic Searchbeta

https://cbetaonline.dila.edu.tw/cbss CBETA Semantic Searchbeta는 CBETA를 운영하는 타이완 법고불교학원에서 만든 시맨틱 검색 서비스이다. 시맨틱 검색 시스템은 키워드 검색이 아닌 문장형식의 질문에 대해서 그 의미와 가장 유사한 내용을 찾아주는 서비스로, 현재는 CBETA 데이터를 토대로 ChatGPT API를 활용하고 있다고 한다. 기본은 번체자 중국어 웹페이지이고, 간체자와 영어 웹페이지도 지원하는데, ChatGPT API가 당연히 다국어를 지원하기에 질문은 한국어로 해도 무방하다. 바로: … 더 읽기

[포럼] 한문 고전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수용 추세와 미래 전망 @단국대학교 2025.06.10.

한문교육연구소 제18회 한연포럼에 대해 안내 드립니다. 이번 포럼은 ‘한문 고전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수용 추세와 미래 전망’이라는 중요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참석자 여러분께 유익한 시간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자세한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강의 주제: 한문 고전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수용 추세와 미래 전망 -강의 일정: 2025.06.10.(화) 오후 4시 -강의 장소: 인문관 402호 & Webinar Zoom (ID: 545 126 … 더 읽기

생성형 및 양자 컴퓨팅의 미래

이 자료들은 IBM 연구진들의 발표 내용을 담고 있으며, 계산의 미래와 관련된 혁신을 강조합니다. 특히, 거대 언어 모델(LLMs)과 같은 인공지능 분야에서의 발전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서 벗어나 제너레이티브 컴퓨팅으로 전환함으로써 효율성과 보안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양자 컴퓨팅의 최신 성과와 함께, 양자 이점을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과 고성능 컴퓨팅 및 인공지능과의 결합을 통한 양자 중심 슈퍼컴퓨팅의 중요성을 논의합니다. 궁극적으로 … 더 읽기

잘 가… Stack overflow

https://blog.pragmaticengineer.com/stack-overflow-is-almost-dead Stack Overflow(SO)는 개발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서 그 위상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을 논합니다. Stack Overflow 커뮤니티는 매우 친절하고 도움이 되었으며, 본질적으로 무료로 일해왔습니다. 며칠이 걸릴 수 있는 많은 버그들이 결국 SO를 통해 해답을 찾았습니다. 그러나 ChatGPT와 같이 몇 분 안에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AI 도구의 등장으로 SO의 관련성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SO의 엄격한 규칙과 … 더 읽기

GOLEM Knowledge Graph Interface / 지식 그래프 인터페이스

GOLEM Knowledge Graph Interface http://search.golemlab.eu:3006/ The “Graphs and Ontologies for Literary Evolution Models” (GOLEM) is a 5-year (2023-2027) research project fund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ERC StG). The GOLEM project models how narratives adapt across languages and cultures by developing an ontology that represents narratives independently of specific domains. To achieve this, GOLEM establishes a framework … 더 읽기

수준 이하의 논문은 공공데이터와 생성AI 탓?!

동아사이언스. “수준 이하 과학논문 급증…공공데이터·AI 활용 탓”. 2025.05.15.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71682 그 결과 사이언티픽 리포츠, BMC 공중보건, BMJ 오픈 등을 포함한 147개 학술지에 341편의 유사한 논문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논문 발표가 급증하기 시작한 시점 챗GPT와 같은 AI 챗봇이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돈을 받고 논문을 제작해 연구 실적을 올려주는 조직인 ’논문 공장(paper mill)‘의 활동이 이 시기 활발해졌다는 점도 저품질 논문이 … 더 읽기

편향 측정 데이터셋: Shades of Bias in Text Dataset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s)은 많은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지만, 훈련 데이터에 존재하는 사회적 편견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측정하고 통제하며 완화하기 위한 자원은 제한적입니다. 스테레오타입 편견을 식별하고 완화하는 연구는 주로 영어에 집중되어 왔으며, 다국어 환경에서 LLM의 급속한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AI 시스템에서 스테레오타입 편견을 감지하는 능력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