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인문학 데이터지원 대상자료 연계 과제 수요조사 안내

신청링크: https://nl.go.kr/rink/contents/R10202000000.do 바로: 여러분들…당장 쓰지 않더라도, 많이 귀찮으시더라도, (일단 무지성으로) 많은 신청을 해주시면, 담당자가 행복하고, 오픈 데이터의 미래도 열립니다!! 안녕하십니까, 국립중앙도서관 연구정보실입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장서를 활용한 국내외 연구자의 학술연구활동을 지원하고, 연구자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연구정보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연구자 및 차세대연구자의 디지털인문학 융합연구 지원을 위해, ‘2025 고문헌(근대자료) 원문텍스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의 데이터를 활용한 연계 과제 … 더 읽기

누리IDT 고문헌 漢字 시스템

https://ocr.nuriidt.co.kr 누리IDT 고문헌 한자 시스템은 고문헌 한자에 특화된 문자 인식 AI 모델을 사용하여 한자 텍스트를 추출합니다. 또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문자를 추출하고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하는 고문헌 OCR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띄어쓰기가 없는 고문헌 한문을 의미적으로 분절하여 표점을 찍어줌으로써 문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자동표점과 자동번역은 제약이 있기는 하지만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OCR은 구매를 … 더 읽기

가장 흥미로운 배경을 가진 10가지 영어 표현 (Phrase-ology: a collection of 100 English phrases)

https://www.britishcouncil.org/world-english-day 2025년 4월 23일: 영국 문화원(British Council)은 ‘세계 영어의 날(World English Day)’을 기념하여 ‘Phrase-ology(프레이즈-올로지)’라는 새로운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를 공개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영어 표현들이 고대 기원에서부터 시작하여, 세계 여러 문화와 디지털 생활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현대 속어에 이르기까지 거쳐온 흥미로운 여정을 탐구합니다. 계산 언어학 전문가인 바버라 맥길리브레이 박사(Dr. Barbara McGillivray)와 NLP(자연어 처리) 전문가인 이아코포 기나시(Iacopo Ghinassi)가 … 더 읽기

플라우드 노트 PLAUD NOTE 64GB

https://recorder.buzz/product/%ED%94%8C%EB%9D%BC%EC%9A%B0%EB%93%9C-%EB%85%B8%ED%8A%B8-plaud-note-64gb/63/category/1/display/2 바로: 재미 있는 제품이군요. 현재의 AI 기능이나 최상위급의 스마트폰에서는 제공하는 기능들이긴 합니다. 다만, 녹음만을 위해서 최적화되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측면이 분명히 있어 보입니다. 할인을 해서 20만원 정도인데, 아직도 AI 기술은 따라가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에, PC나 스마트폰이 아닌 독립적인 하드웨어 제품으로 얼마나 유의미한 상업적인 성과를 보일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제 입장에서는 굳이 구매하지는 … 더 읽기

[학술대회] 세종의 한글과 인공지능, 시대의 혁신을 이끌 @국립한글박물관 2025.05.15.

[국립한글박물관]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 학술대회(5.15.(목)) ‘세종의 한글과 인공지능, 시대의 혁신을 이끌다’ 개최 안녕하십니까. 국립한글박물관이 주최하는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 학술대회를 안내해 드립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오는 2025년 5월 15일(목) 오전 10시 반부터 오후 5시까지 아트코리아랩 6층 AKL아고라에서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세종대왕 나신 날’ 국가기념일 지정을 기념하여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는  ‘세종의 한글과 인공지능, 시대의 혁신을 이끌다’라는 … 더 읽기

딥러닝 시대의 데이터 논문과 알고리즘 논문 인용

현재의 딥러닝 붐이 있을 수 있도록 한 2016년 마이크로소프트의 ResNet 연구(Deep Residual Learning for Image Recognition) 26만회. 2012년 이미지 인식 기술 AlexNet(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14만회 현재의 트랜스포머 기술의 근간인 2017년 구글의 Attention is All You Need 17만회 그렇다면, 0부터 9까지의 손글씨 데이터셋인 MNIST 손글씨 숫자 데이터셋논문은? 1998년으로 오래되긴 했지만, 아니 오래되었음에도 … 더 읽기

2025 한림대학교 창의미래융합대학원 신입생 모집

한림대학교 디지털인문학 온라인 석사과정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1년 과정이면서 교육부가 인정하는 정규 대학원 석사과정입니다. 단기간에 빠르게 디지털인문학의 이론과 방법론을 익히고 DH 학술활동을 할 수 있는 과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상세한 정보는 브로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브로셔도 첨부합니다. 감사합니다!

독립기념관, 디지털인문학으로 독립운동사 재조명 특강 개최

이번 특강은 디지털 인문학의 방법론을 통해 독립운동사를 새롭게 해석하고, 역사와 데이터, 기술이 융합된 연구 흐름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최우석 독립기념관 연구원의 사회로 진행되며, 두 개의 주제 발표가 준비돼 있다. 첫 번째 발표는 강혜원 바키타랩 이사(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가 맡아 ‘데이터 너머 맥락으로: 독립운동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구상’을 주제로 독립운동 관련 데이터를 시맨틱 기술로 구조화하고, 그 맥락을 … 더 읽기

생성AI 데모앱 – Google AI Studio

https://aistudio.google.com/apps Gemini를 활용한 생성AI 데모앱을 제공하는 페이지가 만들어짐. 간단하지만 다양한 영감?!을 얻을 수 있음. 공식 소개 페이지: Making it easier to build with the Gemini API in Google AI Studio https://developers.googleblog.com/en/making-it-easier-to-build-with-the-gemini-api-in-google-ai-studio Github: Gemini API Cookbook https://github.com/google-gemini/cookbook 바로: 간략하게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 좋음. 근데 결국 API 많이 사용하라는건가…돈…ㅠㅠ

한국한자 종합검색시스템 /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https://oriental-dic.dankook.ac.kr ▲『한국한자어사전(1996)』 ▲『이두사전(2020)』 ▲『한국한자자전(2023)』을 집대성해 온라인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구성한 통합 검색 플랫폼 『한국한자어사전』과 『한국한자자전』에 수록된 한국식 한자 표제어 85,000여 개와 용례 74,000여 개, 『이두사전』의 이두어휘 약 4,200여 개와 이두용례 12,000여 개를 포함하고 있어 국내 최대의 한국한자 관련 데이터를 수록 기존 한자 유니코드에 등재되지 않거나 폰트가 없는 약 2,300자의 신출 한자는 단국대가 자체 개발한 ‘DK한국한자’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