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법 조문 간 연결 네트워크 분석···”리걸테크 신산업 창출”

KAIST(총장 이광형)는 우리나라 법 조문 간 연결 관계를 분석해 법 체계의 발전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이 대학 문화기술대학원 박주용 교수와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박태정 교수 공동연구팀은 국내 법령 데이터와 국제 조약 데이터를 전수 수집한 뒤 복합계 네트워크로 구성해 분석하는 ‘포스트 AI 시대 법 발전학’ 연구를 수행한다.  https://zdnet.co.kr/view/?no=20230616134658

《北大新闻与传播评论》(第十三辑)《重现日常生活:数字、人文与传播》出版

(한국어 번역) 최근 북경대학교 출판부에서 북경대학교 저널리즘과 커뮤니케이션 리뷰(13번째 시리즈)인 ‘일상의 재창조: 디지털, 인문학, 커뮤니케이션’을 발간했습니다. 2004년에 창간된 PKU 저널리즘과 커뮤니케이션 리뷰는 한때 중국 사회과학 인용 색인(CSSCI)의 자료집(2017~2018년)이었습니다. 학술지로서 저널리즘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의 최첨단 이슈뿐만 아니라 학제 간 연구 패러다임의 확장에 중점을 두고 항상 ‘이론과 실천’을 고수하며 창간 이래 학술적 질에 집중해 왔습니다. https://news.pku.edu.cn/xwzh/ec836170f87b4eaa96e7b0328d13ba83.htm

고려대, 학계 최초 한국어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 공개…韓 생성AI 기여 기대

“고려대 연구진이 국내 대학 최초로 한국어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공개했다. 초거대 언어모델 학습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한국어 특화 LLM을 개발한 것이다. 한국어 모델 뿐만 아니라 데이터셋까지 모두 공개하며 국내 생성형 인공지능(AI) 생태계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https://www.etnews.com/20230616000153

전송문 (全宋文), 전원문(全元文) 목차 파일 다운로드

CBDB의 주관 기관 중에 하나인 미국 하버드 대학에서 기계가독이 가능한 전원문(全元文: 중국 원나라 시기[1271-1368]에 쓰여진 모든 글을 모아 편집한 자료)의 목차 파일를 공개하였습니다. 또, 이전에 이미 공개가 되었지만, 이 기회에 전송문(全宋文, 중국 송나라 시기[960-1279]에 쓰여진 모든 글의 모아 편집한 자료)의 목차 파일도 다시 공지 되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접근 가능합니다 전원문: https://projects.iq.harvard.edu/cbdb/data-sets전송문: 대만 송사 연구 … Read more

[DH 강연] 6/16 금요일, 오전10:00~11:30, Adam Hammond

안녕하세요, 한국연구재단 “네트워크형 DH 교육모델” 팀의 디지털 인문학 네 번째 강연 안내 드립니다.  6/16 금요일, 오전10:00~11:30 Adam Hammond (토론토 대학 영문학과)   “Voices Speaking about One Another: Dialogism Novel Corpus” [영미소설 속 대화문 코퍼스의 구축과 활용에 관한 영어 강연] 온라인 줌 링크 https://unist-kr.zoom.us/j/5075987386 해몬드 선생님은 영미소설 내 대화문을 대상으로, 발화자, 발화대상자, 대화에서 언급된 인물을 식별하여 주석을 만드는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