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Formation of Periodical Authorship in 1920s Korea

이재연(UNIST) 선생님의 신간 <Formation of Periodical Authorship in 1920s Korea>을 소개합니다. 이 책의 주제는 근대 문학의 형성기에 문단에 등단한 한국 작가들이 정기간행물을 매개로 한 주체임을 멀리서/가까이 읽기를 통해 밝히는 것입니다. 아래는 시카고 대학 Hoyt Long 교수님의 추천사입니다. “This book represents a critical advance in the application of computational techniques to the study of non-English literatures. … 더 읽기

2023 복잡계 여름 학교(7/3~7/7)

유례없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그 동안 쉬었던 복잡계 여름 특강을 시작합니다.올해 2023 한국복잡계학회 <복잡계 여름 학교>는 2023년 7월 3일(월)~7일(금) 5일간서울 KAIST 도곡캠퍼스에서 개최됩니다. 일시: 2023년 7월 3일(월요일) ~ 7월 7일(금요일) (오후 2시~5시)장소: 서울 KAIST 도곡캠퍼스 [지도보기] 2023 한국복잡계학회 안내 — 한국복잡계학회 Korea Academy of Complexity Studies

2023년도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신규과제 공모

□ 온라인 신청 및 주관기관 승인 기간 – 연구자 온라인신청 기간 : 2023. 6. 9. (금) 14:00 ∼ 6. 15. (목) 18:00 까지 – 주관연구기관 확인 기간 : 2023. 6. 9. (금) 14:00 ∼ 6. 19. (월) 18:00 까지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nts_no=197772&biz_no=241&target=&biz_not_gubn=guide&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Kiwi + 딥러닝 언어모델

“BERT, GPT, BART와 같은 딥러닝 언어모델에서는 크기가 고정된 닫힌 어휘 집합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딥러닝 언어모델에 텍스트를 입력하려면 임의의 텍스트를 고정된 어휘 집합으로 분할하여 변환해주는 토크나이저(Tokenizer)가 필수적입니다. 한국어의 경우 오랫동안 개발되어온 형태소 분석기가 있으나, 기존의 형태소 분석기들은 분석결과를 고정된 개수의 어휘로 출력하는 기능이 없었으므로 형태소 분석기를 토크나이저로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한국어의 특징을 고려하지 못함에도 Byte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