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ChatGPT
MS에서 만든 이미지 기반 ChatGPT 모델. ChatGPT와 이미지로도 소통이 가능. https://github.com/microsoft/visual-chatgpt
MS에서 만든 이미지 기반 ChatGPT 모델. ChatGPT와 이미지로도 소통이 가능. https://github.com/microsoft/visual-chatgpt
ChatGPT를 활용한 지식 그래프 자동 생성 튜토리얼 https://medium.com/@vespinozag/graphgpt-convert-unstructured-natural-language-into-a-knowledge-graph-cccbee19abdf
데이터 분석가와 개발자를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뉴스데이터와 타 분야 데이터를 융합할 수 있는 분석 및 개발 환경을 제공합니다. https://github.com/KPF-bigkinds/BIGKINDS-LAB
디지털인문학 연구에는 좋은 서버 컴퓨터가 있으면 매우 효율적입니다. 특히 GPU와 대용량 메모리가 중요한데, NIPA에서 무료 서버를 대여해주는 사업을 몇년전부터 계속 하고 있습니다. 대학(원)의 경우 재직증명서가 있으면 신청가능합니다 (학생은 교수 재직증명서 함께 제출) https://www.nipa.kr/home/2-2/12380
Charlotte Brontë의 『Jane Eyre』는 영어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수백 명의 번역가에 의해 6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번역가는 다른 관점에서 소설을 보기에, 새로운 언어는 새로운 표현 형식을 만든다. 『Jane Eyre』라는 소설이 전세계의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확산함에 따라 발생하는 다채로운 현상이 우리에게 던져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국가별 다양한 간본의 『Jane Eyre』 출판사 위치와 출판본 표지를 함께 볼 수 있는 … 더 읽기
Julius-Maximilians Universität Würzburg(독일)의 Dag Nikolaus Hasse 교수와 그의 팀은 2005년부터 진행되어 온 “아랍어 및 라틴어 용어집(Arabic and Latin Glossary, ALGloss)” 편찬 연구와 2016년부터 진행되어 온 “아랍어 및 라틴어 코퍼스(Arabic and Latin Corpus, ALCorpus)” 구축 연구를 통해 중세 철학 분야의 기초 연구로서 디지털 인문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ALGloss는 아랍어로 글을 쓴 중세 작가와 중세 라틴어 번역가의 어휘를 … 더 읽기
연구 데이터 공개와 공유가 용이한 논문 투고심사 시스템 https://blog.naver.com/withkisti/223032358053
사고전서 텍스트로 학습한 GPT-2 기반 생성 모델 https://github.com/SIKU-BERT/sikuGPT
바이칼에이아이에서 만든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바른(bareun) 이 공개됐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한 대용량의 한국어 기사(1억 어절)를 학습해서 다른 형태소 분석기 대비 성능이 매우 뛰어나다고 합니다. 파이썬, R, Java, JavaScript 에서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https://bareun.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