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CRM: 인물 생애 정보 기술을 위한 데이터 모델

Bio CRM: A Data Model for Representing Biographical Information for Prosopography  http://ldf.fi/schema/bioc/ 이 문서는 개인의 생애 정보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인 BioCRM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BioCRM은 특히 프로소포그래피(prosopography, 인물군 연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BioCRM의 주요 목표 및 활용 사례: 설계 원칙: 핵심 클래스: BioCRM 모델의 핵심 클래스는 다음과 같은 계층 구조를 가집니다: Entity, Actor (Person, Group), Actor_Appellation, Document, Entity_Role (Actor_Role, Thing_Role), Event, … 더 읽기

《법화경》 대조 열람 데이터베이스

https://sdp.dila.edu.tw 《法華經》對讀資料庫Saddharmapuṇḍarikasūtra Database 《묘법연화경》(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데이터베이스 소개: 《묘법연화경》은 대승불교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영향력이 깊은 경전 중 하나이며, ‘경중지왕(經中之王)’으로 존칭됩니다. 이 경전은 ‘삼승은 방편이요, 일승만이 구경(궁극)’이라는 사상으로 대승의 중생 평등이라는 자비와 지혜의 함의를 열어 보입니다. 한자 문화권에 유통된 주요 역본으로는 서진(西晉) 시대 축법호(竺法護) 역 《정법화경(正法華經)》, 요진(姚秦) 시대 구마라집(鳩摩羅什) 역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수(隋)나라 시대 사나굴다(闍那崛多)와 달마급다(達摩笈多) 공역 《첨품묘법연화경(添品妙法蓮華經)》 세 … 더 읽기

[웹서비스]《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데이터베이스

https://sdp.dila.edu.tw 《瑜伽師地論》資料庫電子佛典製作與應用之研究Yogācārabhūmi Database:A study on Creation and Application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유가사지론》(Yogācārabhūmi)은 인도 대승불교 유가행파(瑜伽行派)와 중국 법상종(法相宗)의 연원이며, 현장(玄奘)이 서역으로 경전을 구하러 간 동기이기도 합니다. 내용은 요가 수행자(선승)의 수행 단계와 경지에 관한 백과사전입니다. 본 데이터베이스는 TEI 태그셋(tag sets)을 사용하여 《유가사지론》의 이역본, 주석서,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등 전자 자료를 마크업(markup)하고, 그 구조적 특징(structural features)을 … 더 읽기

경산장《径山藏》 디지털화 프로젝트

https://www.rushi-ai.com/JS 북경여시인공지능기술연구원이 주도하고 항저우 영은사가 협력하는 ‘경산장 디지털화 프로젝트’는 첨단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수록 경전의 양과 내용적 가치가 독보적인 한문 불교 대장경 《경산장》을 디지털 형태로 구축함으로써 학술적 활용을 증진하고 귀중한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18년 기술 연구를 시작으로 2020년 본격 착수된 이 프로젝트는 《경산장》 원본의 체계적인 분할, 교열, 형식 표점 등의 디지털화 단계를 거쳐 … 더 읽기

[웹서비스] CBETA Semantic Searchbeta

https://cbetaonline.dila.edu.tw/cbss CBETA Semantic Searchbeta는 CBETA를 운영하는 타이완 법고불교학원에서 만든 시맨틱 검색 서비스이다. 시맨틱 검색 시스템은 키워드 검색이 아닌 문장형식의 질문에 대해서 그 의미와 가장 유사한 내용을 찾아주는 서비스로, 현재는 CBETA 데이터를 토대로 ChatGPT API를 활용하고 있다고 한다. 기본은 번체자 중국어 웹페이지이고, 간체자와 영어 웹페이지도 지원하는데, ChatGPT API가 당연히 다국어를 지원하기에 질문은 한국어로 해도 무방하다. 바로: … 더 읽기

[News] CBETA AI 시맨틱 검색 지원

https://archive2.cbeta.org/node/6616 한국어 요약: CBETA에서 OpenAI API와 RAG를 활용해 의미 검색(시맨틱 서치)를 제공 CBETA Online「語意搜尋」功能開放測試! 法鼓文理學院結合 OpenAI API 與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技術,首次將生成式 AI 應用於 CBETA 資料庫,為線上版 CBETA Online 帶來不同的經文檢索體驗。 與傳統關鍵詞搜尋不同,您只需輸入一行問題或主題,系統即以語意向量比對,找出最相關段落,整合重點、引經據典,並提出延伸議題。所對比的經文依相關度排序,連接 CBETA Online 原文。 搜尋範例: ‧請問龍樹菩薩大約是在佛教哪個時期 ‧找出與月亮和兔子相關的故事 ‧佛陀有教人如何瘦身或增進健康嗎 ‧如何修行佛法獲得解脫 目前可鎖定「阿含部」、「律部」等部類;未來或可另指定藏經、叢書等。詳見下方〈操作引導〉。 歡迎試用並回饋寶貴意見! P.S.: 更多詳情,請線上參與 5/22 (四) 2025 法鼓數典專案春季成果發表會,CBETA 執行長洪振洲教授將親自分享本實驗與後續規劃。 ^頁首 CBETA Online now offers a public beta of its experimental feature Semantic Search! Developed by the Dharma Drum Institute of Liberal Arts using OpenAI API and Retrieval … 더 읽기

GOLEM Knowledge Graph Interface / 지식 그래프 인터페이스

GOLEM Knowledge Graph Interface http://search.golemlab.eu:3006/ The “Graphs and Ontologies for Literary Evolution Models” (GOLEM) is a 5-year (2023-2027) research project fund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ERC StG). The GOLEM project models how narratives adapt across languages and cultures by developing an ontology that represents narratives independently of specific domains. To achieve this, GOLEM establishes a framework … 더 읽기

편향 측정 데이터셋: Shades of Bias in Text Dataset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s)은 많은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지만, 훈련 데이터에 존재하는 사회적 편견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측정하고 통제하며 완화하기 위한 자원은 제한적입니다. 스테레오타입 편견을 식별하고 완화하는 연구는 주로 영어에 집중되어 왔으며, 다국어 환경에서 LLM의 급속한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AI 시스템에서 스테레오타입 편견을 감지하는 능력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 더 읽기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인문학 데이터지원 대상자료 연계 과제 수요조사 안내

신청링크: https://nl.go.kr/rink/contents/R10202000000.do 바로: 여러분들…당장 쓰지 않더라도, 많이 귀찮으시더라도, (일단 무지성으로) 많은 신청을 해주시면, 담당자가 행복하고, 오픈 데이터의 미래도 열립니다!! 안녕하십니까, 국립중앙도서관 연구정보실입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장서를 활용한 국내외 연구자의 학술연구활동을 지원하고, 연구자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연구정보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연구자 및 차세대연구자의 디지털인문학 융합연구 지원을 위해, ‘2025 고문헌(근대자료) 원문텍스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의 데이터를 활용한 연계 과제 … 더 읽기

누리IDT 고문헌 漢字 시스템

https://ocr.nuriidt.co.kr 누리IDT 고문헌 한자 시스템은 고문헌 한자에 특화된 문자 인식 AI 모델을 사용하여 한자 텍스트를 추출합니다. 또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문자를 추출하고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하는 고문헌 OCR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띄어쓰기가 없는 고문헌 한문을 의미적으로 분절하여 표점을 찍어줌으로써 문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자동표점과 자동번역은 제약이 있기는 하지만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OCR은 구매를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