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현 /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중 동형 한자어의 파생 체계 및 의미 변화 연구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김시현 / 부산대학교 /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중 동형 한자어의 파생 체계 및 의미 변화 연구 / 2억 / 60개월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연구목표: 본 연구는 한·중 동형 한자어의 의미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핵심 의미 자질을 도출하고, 의미 확장 및 파생 체계의 원리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중 동형 한자어는 … 더 읽기

김유정 / 프랑스에서 출판된 한국 설화의 번역 연구: 수용 양상과 텍스트·파라텍스트 변형을 중심으로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김유정 / 고려대학교 / 프랑스에서 출판된 한국 설화의 번역 연구: 수용 양상과 텍스트·파라텍스트 변형을 중심으로 / 2억 / 60개월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연구목표: 본 연구는 프랑스에서 출판된 한국 설화 번역본의 사회문화적 수용 양상과 번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텍스트 및 파라텍스트적 변형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연구의 필요성(1) 한국 문학의 세계적 확산과 통합적 연구의 … 더 읽기

김세미 / ChatGPT 및 R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현대중국어 ‘不要’ 정도구문의 구문화 연구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김세미 / 연세대학교 / ChatGPT 및 R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현대중국어 ‘不要’ 정도구문의 구문화 연구 / 2억 / 60개월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연구목표: 본 연구는 ChatGPT 및 R 기반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현대중국어 ‘不要’정도구문의 구문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대량의 말뭉치 데이터와 소셜 미디어 자료를 수집하고, 사용 빈도 및 … 더 읽기

김기원 / 서양과 언어 접촉으로 인한 중국 근대 어휘 생성과 전파: 19세기 선교사의 이중어사전 중심으로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김기원 / 국립부경대학교 / 서양과 언어 접촉으로 인한 중국 근대 어휘 생성과 전파: 19세기 선교사의 이중어사전 중심으로 / 2억 / 60개월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연구목표: 본 연구는 19세기 초중반 중국에서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간행된 이중어사전을 중심으로, 중국 근대 어휘가 어떻게 생성되고 전파되었는지를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중국에서 이중어사전을 통한 어휘 형성을 … 더 읽기

구건우 / Gen-AI의 언어학자로서의 가능성: 이론언어학적 접근을 통한 평가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구건우 / 동국대학교 / Gen-AI의 언어학자로서의 가능성: 이론언어학적 접근을 통한 평가 / 2억 / 60개월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연구목표: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진보로 인해 우리의 언어 사용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2022년 11월에 출시된 ChatGPT는 영어 작문 분야에서 원어민 수준의 작문 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인공지능으로 구현하기 어려웠던 영역이다. ChatGPT가 외견상 탁월한 … 더 읽기

고민전 / SF 서사와 AI 윤리: 소설과 영화의 재구성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고민전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 SF 서사와 AI 윤리: 소설과 영화의 재구성 / 2억 / 60개월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연구목표: 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자 “딥러닝의 대부”로 불리는 제프리 힌튼(Geoffrey Hinton)은 같은 해 5월 BBC Newsnight와의 인터뷰에서 인공지능(AI)에 대한 일반대중의 인식 변화를 지적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AI는 공상과학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현실적인 위협으로 인식되고 … 더 읽기

강수환 / ‘멀리서 보기’를 통해 본 영상 콘텐츠의 각색과 정치성 연구: 디즈니 프린세스 시리즈를 중심으로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강수환 / 인하대학교 / ‘멀리서 보기’를 통해 본 영상 콘텐츠의 각색과 정치성 연구: 디즈니 프린세스 시리즈를 중심으로 / 2억 / 60개월 / 2025년도 (A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예비선정 연구목표: ■ ‘멀리서 보기’, 새로운 시각 연구의 필요성본 연구는 ‘멀리서 보기’(distant viewing) 방법으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한다. 멀리서 보기란, 분석 텍스트를 분석자가 가까이에서 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독법인 ‘근거리 … 더 읽기

고언숙(조선대) / 언어, 인지, 그리고 사회: 데이터 기반 전 생애적 관점에서의 탐색 / 2025 인문한국3.0지원사업_연구거점형

고언숙(조선대) / 언어, 인지, 그리고 사회: 데이터 기반 전 생애적 관점에서의 탐색 / 2025 인문한국3.0지원사업_연구거점형 예비선정 연구기간: 72개월(6년/5차) 매차시마다 8억원 / 총 40억원 https://ernd.nrf.re.kr/websquare/websquarepop.do?w2xPath=/wsq/sl/slc/RsvSlcSbjtListRM.xml&bizYr=2025&bizCd=S1A6B5A02&sbjtStepNgr=1&sbjtAnuNgr=1&sbjtNgr=1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nts_no=237732&biz_no=236&target=&biz_not_gubn=result&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연구목표: 본 연구는 영유아부터 노년층까지 전 생애에 걸친 언어 발달 및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AI 및 데이터 과학을 활용하여 보다 정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기초 언어 연구, 사회적 … 더 읽기

송혁기(고려대) / 소버린 AI시대 한국학의 재정립과 글로벌 비교인문학 허브 구축 / 2025 인문한국3.0지원사업_연구거점형

송혁기(고려대) / 소버린 AI시대 한국학의 재정립과 글로벌 비교인문학 허브 구축 / 2025 인문한국3.0지원사업_연구거점형 예비선정 연구기간: 72개월(6년/5차) 매차시마다 8억원 / 총 40억원 https://ernd.nrf.re.kr/websquare/websquarepop.do?w2xPath=/wsq/sl/slc/RsvSlcSbjtListRM.xml&bizYr=2025&bizCd=S1A6B5A02&sbjtStepNgr=1&sbjtAnuNgr=1&sbjtNgr=1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nts_no=237732&biz_no=236&target=&biz_not_gubn=result&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연구목표: 본 연구단은 ① 글로벌 인문학(Global Humanities)의 거시적 시야에서 한국학(Korean Studies)에 대한 전통적 방식의 연구를 심화·창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② 신AI제국주의에 대항하는 소버린(Sovereign) AI시대를 위한 인문학적 기여 방안을 모색하며, 이를 기반으로 ③ 글로벌 … 더 읽기

이찬규(중앙대) / AI 네이티브 시대, 인간과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인공지능인문학의 실행과 확산 / 2025 인문한국3.0지원사업_컨소시엄형

이찬규(중앙대) / AI 네이티브 시대, 인간과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인공지능인문학의 실행과 확산 / 2025 인문한국3.0지원사업_컨소시엄형 예비선정 연구기간: 72개월(6년/5차) 매차시마다 20억원 / 총 100억원 https://ernd.nrf.re.kr/websquare/websquarepop.do?w2xPath=/wsq/sl/slc/RsvSlcSbjtListRM.xml&bizYr=2025&bizCd=S1A6B5A01&sbjtStepNgr=1&sbjtAnuNgr=1&sbjtNgr=1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nts_no=237732&biz_no=236&target=&biz_not_gubn=result&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연구목표: 본 연구는 AI 네이티브 시대에 인간과 사회가 직면하는 문제를 인공지능인문학을 통해 진단하고 문제에 대한 해결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함. 또한 인문학 기반의 학제적 접근으로 구축된 인공지능인문학이 실세계에서 인간의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