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 Asia 일곱 번째 웨비나

안녕하세요, DH Asia 웨비나 시리즈의 일곱 번째 발표를 알려드립니다.  날짜, 시간: 24.04.19, 12:00-1:00 pm  발표자: 류정민 (연세대) + 성기호, 이창희  토론자:  Timothy Tangherlini (U.C. Berkeley)  제목: “Du Fu in Paratexts: An Analytical Reading of Literary Intertextuality in Chosŏn Korea”  발표초록은 첨부한 포스터를 참조해 주십시오. 두보 시인, 조선시대 문학, 독서사, 인용 네트워크 등등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특히 … 더 읽기

Digital Curation of Humanities Data: Embracing Creative Culture and Art in the AI Era (Thursday, April 4, 3-5 pm NZDT)

Dear Koreanists, We are pleased to inform you that we will be hosting an insightful speech titled “Digital Curation of Humanities Data: Embracing Creative Culture and Art in the AI Era” by Professor Hyeon Kim fro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next week. Event Details: Date & Time: Thursday, April 4 2024 Time: 3 – … 더 읽기

[DH Asia] Locating Digital Archives for An Indian Digital Commons

안녕하세요, DH Asia의 네 번째 발표는 인도에 관한 주제입니다. 디지털 인문학이 문화 유산을 아카이빙 하는 방식과 탈식민주의적 사고에 어떻게 개입할 수 있는지 시사하는 발표가 될 것 같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날짜, 시간: 4/1 월요일 오후 2시  발표자: Dr. Maya Dood (Director of the FLAME Centre for Legislative Education and Research at FLAME … 더 읽기

[별별세미나] 우리는 디지털인문학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What Can We Do with Digital Humanities?) @20240321

안녕하세요,  “네트워크형 DH 교육 모델 개발”팀에서 올해 진행하고 있는 기획  ‘별별세미나(참여대학 별로 DH 세미나를 운영하여 연구와 교육 사례를 공유 확산)’에 관심있는 선생님들을 초대합니다. 지난 한양대 주최 첫 발표에 이어, 이번엔 가천대가 마련한 특강이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3월 21일(목) 5-7시 김병준(카이스트) 우리는 디지털인문학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What Can We Do with Digital Humanities?) (초록은 링크를 클릭해 … 더 읽기

[특강] 우리는 디지털인문학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3/14)

제목 : 우리는 디지털인문학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What Can We Do with Digital Humanities?) 일시 : 3월 14일 목, 12:30 ~ 13:45 장소 : 이화여대 학관 502호 주관 : 이화여대 불어불문학과 강연자 : 김병준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연구조교수) 문의 : 최요환 교수(yohwanchoi@ewha.ac.kr)

[Talk] Are AI and LLM important for historians?

Hands on History talk with Philippe Rygiel, Ecole Normale Supérieure de Lyon. Artificial intelligence, particularly in the form of large language models,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news for several years. The majority of historians, when they express an opinion on the matter, seem mainly concerned about whether their students will be able to … 더 읽기

DH 별별세미나 안내 (3/9 시작)

안녕하세요, UNIST 인문학부에 있는 이재연이라고 합니다.  “네트워크형 DH 교육 모델 개발”팀에서는 올해 별별세미나라는 기획으로 연구자분들을 찾아뵈려고 합니다. 지난 해에는 DH 섬머스쿨 등을 통해 공동연구자 전체가 참여하는 작업을 주로 했었는데요, 올해는 참여대학에서 필요한 세미나를 개별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포맷을 바꾸었습니다. 특”별”한 주제의 세미나를 개”별” 대학이 진행한다는 의미에서 별별세미나입니다.  첫 발표는 한양대 사학과에서 온라인으로 진행합니다.   줌 링크: https://us02web.zoom.us/j/6597801717?pwd=ZGpDTGNwQzFHdmFzWnFDK1kxckJzZz09 월 … 더 읽기

Digital History Discussion Group: Jo Guldi on Data and Historical Method

This seminar is 13:00 GMT live on Zoom (link https://zoom.us/j/5959205456). This year the IHR Digital History seminar is support by the Programming Historian: a publisher of open-access, multi-lingual, and peer-reviewed tutorials that help historian learn digital tools, techniques, and workflows. Session chairs: James Baker and Alexandra Ortolja-Baird The IHR Digital History Discussion Group seminar is an informal meeting based … 더 읽기

[특강] 한국문집총간 XML 구조 이해와 Python을 활용한 파싱 실습 / 고려대 / 2024.02.08.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디지털한문학센터와 디지털 한국학 연구를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론 개발 연구회(고려대 학제간연구회)는 다음과 같이 디지털 인문학 전문가 강연을 마련하였습니다. 본 강연에서는 한국에서 구축된 대표적인 한문 데이터 자원인 한국문집총간 XML 데이터를 파이썬으로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과 그러한 과업의 학술적 의미를 전해 듣고자 합니다. 근래 들어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