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역사학 별별세미나] 총성공지수(Total Success Index)로 본 조선시대 양반 사회의 세대 간 이동성 (240921)

강연자 : 최동혁(홍콩대학교) 일시 : 2024년 9월 21일 토 오전10시 주관: 한양대학교 사학과 주최: “네트워크형 디지털인문학 교육모델 개발” 공동연구팀(한국연구재단 지원) 강연링크 : ZOOM 초록 조선시대 양반 사회의 세대 간 이동성(Intergenerational Mobility) 연구는 주로 과거 급제 여부나 일생 동안의 최고 품계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이는 개인의 전체 관료 생활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 더 읽기

Call for Papers: Korean Journal of Digital Humanities (KJDH) Volume 1, Issue 2

Dear Colleagues, We are proud to announce the successful publication of our inaugural issue (Volume 1, Issue 1). The first issue is freely accessible to Digital Humanities scholars worldwide at https://accesson.kr/kjdh/. As of September 1, 2024, it has garnered significant international attention, with 1,300 unique visitors, 600 views, and 300 downloads globally. This enthusiastic reception … 더 읽기

<디지털인문학> 제1권 제2호 원고 모집 공고

존경하는 디지털인문학 연구자 여러분,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KADH)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디지털인문학(Korean Journal of Digital Humanities)>의 제1권 제2호 원고를 모집합니다. 저희 학술지는 디지털과 인문학의 융합을 탐구하며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공유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먼저, 창간호(제1권 제1호)의 성공적인 발행을 알려드립니다. 창간호는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현재 전 세계 디지털 인문학 연구자들에게 공개되었습니다. 2024년 9월 1일 현재, 창간호는 1,300명의 방문자를 기록했으며, … 더 읽기

[학술대회] TEI 2024

Texts, Languages, and Communities – TEI 2024 is the twenty-fourth conference of the Text Encoding Initiative, and the first to take place in a Spanish-speaking country. The TEI is one of the initiatives that has managed to endure over time and build an active community of users and practitioners inside and outside the Digital Humanities field. While … 더 읽기

심소희(이화여대) /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근세시기 동아시아 언어 자료 DB 구축 / 2024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심소희(이화여대) /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근세시기 동아시아 언어 자료 DB 구축 / 2024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예비 선정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nts_no=225837&biz_no=241&target=&biz_not_gubn=result&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연구목표: 기대효과: 본 연구의 결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근세시기 동아시아 언어자료에 대한 최초의 포괄적 집대성으로, 전 세계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의 귀중한 기록 문화유산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어 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우리나라의 학술적 … 더 읽기

김한샘(연세대) / 20세기 초 한국어 학습서 아카이브 구축과 언어-문화의 사적 고찰 / 2024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김한샘(연세대) / 20세기 초 한국어 학습서 아카이브 구축과 언어-문화의 사적 고찰 / 2024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예비 선정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nts_no=225837&biz_no=241&target=&biz_not_gubn=result&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연구목표: 본 연구는 외국인을 위한 초기 한국어 학습서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초기 한국어 교육 체제와 내용을 총체적으로 연구하고, 한국어 교육의 역사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20세기 초기 한국의 언어・문화적 특성을 분석하고 규명한다. 또한, 이 아카이브를 활용하여 한국어 … 더 읽기

김영진(성균관대) / 유림 독립운동가 발굴 및 문헌 DB구축 / 2024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김영진(성균관대) / 유림 독립운동가 발굴 및 문헌 DB구축 / 2024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nts_no=225837&biz_no=241&target=&biz_not_gubn=result&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연구목표: 조선 독립운동가들의 한문 문헌자료 일체를 조사하고 미발굴 자료를 추가 정리하여 인물별로 정리하며, 독립운동가 인물별로 정리된 자료를 중심으로 해제를 작성한다. 이상의 정리된 전체 자료와 해제를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학계와 일반에게 제공한다. 근대 전환기에 동분서주하던 독립운동가들은 전 세대에 비해 이주와 이동이 잦았고, 새로운 교유 관계가 … 더 읽기

조영환(서울대) / 공교육 학습데이터 생태계 구축 방안 연구 / 2024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조영환(서울대) / 공교육 학습데이터 생태계 구축 방안 연구 / 2024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예비 선정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nts_no=225837&biz_no=241&target=&biz_not_gubn=result&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연구목표: -2025년부터 AI·디지털 교과서가 전국적으로 보급됨에 따라서 학습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저장, 관리, 분석, 활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함. 본 연구는 데이터에 기반한 맞춤형 교육과 국가 정책 수립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목표를 설정함.-학습데이터 표준 관련 선행문헌 … 더 읽기

신동규(동아대) / 일제강점기 한국 관련 팸플릿의 분석·번역·해제·이미지 DB 구축 / 2024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신동규(동아대) / 일제강점기 한국 관련 팸플릿의 분석·번역·해제·이미지 DB 구축 / 2024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예비선정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nts_no=225837&biz_no=241&target=&biz_not_gubn=result&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연구목표: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한국 관련 팸플릿의 분석·번역·해제·이미지 DB 구축」으로 이미지 자료를 토대로 새로운 인문학 환경의 조성과 ‘인문이미지학’의 신 영역을 개척한다는 우선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다. 대상 자료는 일제강점기의 팸플릿(소책자·리플렛·조감도·기타 홍보인쇄물 등)으로 근대 한국과 일제강점기의 정치·경제·사회·문화·역사·사상 분야를 비롯해 군사·관광·건축·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