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G 2.0? : GLM(Grounded Language Model)

AI타임즈: “기존 RAG는 짜깁기”…’RAG 2.0′ 적용한 최고 사실 확인 모델 등장 Contextual AI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컨텍스추얼 AI(contextual AI)가 검색 증강 생성(RAG)을 재정리한 ‘RAG 2.0’ 기술을 기반으로 환각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대형언어모델(LLM)을 출시했다. RAG 기술의 창시자가 직접 제작한 이 모델은 벤치마크에서 구글과 앤트로픽, 오픈AI 등의 사실 정확도를 능가했다. 컨텍스추얼 AI는 4일(현지시간) 업계에서 가장 높은 사실 정확도를 제공하는 ‘근거(groundedness) 기반’ 언어모델을 공개했다. … Read more

AI로 설형 문자 식별하기

ProtoSnap: Prototype Alignment for Cuneiform Signs 참조: AI models makes precise copies of cuneiform characters 이 논문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3천 년 이상 사용된 쐐기 문자 기호의 복잡한 내부 구조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합니다. 기존 방법들은 쐐기 문자 기호를 단순한 범주로 취급했지만, 이 연구는 프로토타입 폰트 이미지와 강력한 생성 모델을 활용하여 쐐기 문자 기호의 … Read more

[세미나] 2025 DH-정동이론 세미나

https://network-education-model.notion.site/dh-affection 주최: “네트워크형 디지털 인문학 교육 모델 연구”팀 주관: UNIST 디지털 인문학 센터, 동아대 젠더·어펙트 연구소 링크: https://unist-ac-kr.zoom.us/j/5075987386?pwd=sXeYQEo56nOV5TVyOkz5q4yuUnZX5P.1 텍스트에 산재한 인간의 감정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 수량적 문학 분석의 방법의 하나인 감성 분석은 주로 감정값이 매겨진 감성어휘의 빈도와 분포를 측정하여 서사 내 주인공이 겪는 감정의 흐름을 추적한다. 물론 이 방법은 작품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 Read more

AI와 저작권

출처: JTBC. “이게 우리가 원한 거냐?” 텅 빈 음원 낸 가수들, 왜 [소셜픽].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36782 바로: 창작자의 권리 보장을 위한 저작권은 인류 지식의 증진을 위해서 분명 중요하다. 그런데 학습데이터의 AI 모델 기여도를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가? 한국인은 세종대왕님이 만든 한글을 배우고, 수 많은 사람들이 영향을 준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 외에 문학, 사학, 철학, 예술, 과학 등 … Read more

[특강] An Introduction to Digital Humanities for East Asian Studies

When and Where Monday, March 03, 2025 11:00 am to 2:00 pm EAS Lounge, 14th Floor Robarts Library Speakers Rose Ting-Yi Liu, East Asian Studies, UofT Peichao Qin, East Asian and Middle Eastern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Dr. Paul A. Vierthaler, East Asian Studies, Princeton University Description This is a hybrid event. In-person attendance: EAS Lounge Zoom Registration: https://forms.office.com/r/YxfmPjPQGF https://www.eas.utoronto.ca/events/introduction-digital-humanities-east-asian-studies 발표 … Read more

[특강] 한문 자료의 수집과 데이터베이스 / 신윤수(단국대)

한문교육연구소의 신윤수 선생님을 모시고 ‘한문 자료의 수집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라는 주제로 강연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일시: 2025년 2월 25일 화요일 오후 2시 / 한문자료의 수집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         일시: 2025년 3월 18일 화요일 오후 2시 / 한문자료의 수집과 데이터베이스 관리 ·         일시: 2025년 4월 8일 화요일 오후 2시 / 한문자료의 수집과 데이터베이스 활용 [콜로키움] 한문 … Read more

[특강] 인문학자의 말뭉치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250224)

이화여대 중국문화연구소 디지털인문학특강 3 인문학자의 말뭉치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 한국어역사자료말뭉치(KOHICO)를 중심으로 강사 : 오민석 일시 : 2025년 2월 24일 15:00~17:00 장소 : 이화여자대학교 학관 511호 https://myr.ewha.ac.kr/chcul/bulletion/event-information.do?mode=view&articleNo=742655&article.offset=0&articleLimit=9

[학술대회] 디지털인문학, 공공역사와 아카이브 플랫폼

– 주제 : 디지털인문학・공공역사와 아카이브 플랫폼 : 과정 철학과 VADs・CurateScape 기술 적용– 발표 : 유명상(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강사, 기록학 박사)– 사회 : 박춘원(위즈메타 CEO, 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겸임교수)– 토론 : 박진호(고려대 연구교수, 문화유산 디지털 복원 전문가)최효진(한국외대 정보・기록학연구소 책임연구원)김수진(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관, 한국공공역사협회 부회장)이승일(한국외대 철학과 교수, 과학철학)– 일시 : 2025년 2월 16일(일) 저녁 8시(회의 시작 15분 전부터 입장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