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한국문학 자료 구축의 한 방안: 한국어학과 한국문학의 상호 발전을 위하여

“이 글에서는 한국어학과 한국문학의 상호 발전을 위해 한국어학계와 한국문학계의 조화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각 학계의 사정을 살펴보고 디지털인문학적인 관점에서의 상호 발전 방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학계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언어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코퍼스로 구축하여 연구에 도입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많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바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국어학계 또한 … 더 읽기

Digital Curation of Humanities Data: Embracing Creative Culture and Art in the AI Era (Thursday, April 4, 3-5 pm NZDT)

Dear Koreanists, We are pleased to inform you that we will be hosting an insightful speech titled “Digital Curation of Humanities Data: Embracing Creative Culture and Art in the AI Era” by Professor Hyeon Kim fro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next week. Event Details: Date & Time: Thursday, April 4 2024 Time: 3 – … 더 읽기

[논문] What Should Data Science Education Do with Large Language Models? / 데이터 과학 교육은 대규모 언어 모델로 무엇을 해야 합니까?

[Submitted on 6 Jul 2023 (v1), last revised 7 Jul 2023 (this version, v2)] What Should Data Science Education Do with Large Language Models? Xinming Tu, James Zou, Weijie J. Su, Linjun Zhang The rapid advances of large language models (LLMs), such as ChatGPT, are revolutionizing data science and statistics. These state-of-the-art tools can streamline complex processes. As … 더 읽기

[CFP] Charting the European D-SEA: Digital Scholarship in East Asian Studies

Digital Humanities (DH) is an emerging research paradigm that brings computational methods to the humanities, arts, and social sciences, driven by the abundance of digitized and born-digital research materials. In Europe, DH has drawn significant attention from scholars, institutions, and research-funding agencies over the past decade, leading to numerous national and pan-European projects creating digital … 더 읽기

[DH Asia] Locating Digital Archives for An Indian Digital Commons

안녕하세요, DH Asia의 네 번째 발표는 인도에 관한 주제입니다. 디지털 인문학이 문화 유산을 아카이빙 하는 방식과 탈식민주의적 사고에 어떻게 개입할 수 있는지 시사하는 발표가 될 것 같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날짜, 시간: 4/1 월요일 오후 2시  발표자: Dr. Maya Dood (Director of the FLAME Centre for Legislative Education and Research at FLAME … 더 읽기

[책] 라이프 레슨 – 천 권의 책에서 배우는 인생 수업 / 이창수

이창수 (지은이) / 사람in / 2024-01-26 264쪽 / 148*210mm (A5) / 424g / ISBN : 9791171010554 알라딘: http://aladin.kr/p/VQ6Pd 디지털 인문학자 이창수 교수가 영어로 발간된 천 권의 회고록과 자서전을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한 디지털 인문학 에세이다. 삶의 정답을 찾아 나선 이들이 인생길에서 넘어지고, 다치며, 길을 잘못 들고, 아픔을 극복하며 나아간 경험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독자는 그들의 … 더 읽기

[논문] 한국전쟁 역사 자료에서 지식 그래프와 온톨로지를 구축하기 위한 지식 추출 및 표현 기법 / 박지연, 김홍중

RISS: https://www.riss.kr/link?id=A108945832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8775 KISS: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4070842 초록: 한국전쟁과 관련하여 다양한 역사 자료와 기록물이 존재하고 이러한 자료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활용 분야를 넓히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고급 인공지능 기술 중 하나인 지식 그래프는 기록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기 위해 유용하게 쓰이며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매우 넓은 기술이다. 본 논문은 딥러닝을 이용하여 한국전쟁 역사 자료에서 … 더 읽기

[책] 디지털 역사란 무엇인가? (2024) / 한누 살미 (지은이),최용찬 (옮긴이)

한누 살미 (지은이),최용찬 (옮긴이)앨피2024-03-30 원제 : What is Digital History? (2021년) 204쪽 / 148*215mm / 265g / ISBN : 9791192647326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36659998 현재 새롭게 부상 중인 디지털 역사학에 대한 설득력 있는 가이드. 디지털 역사학이란 디지털 기술과 컴퓨터를 활용하는 새로운 역사 연구 분야이다. 디지털 역사 연구의 기원에 대한 고찰을 시작으로, 역사가 어떻게 디지털화된 형태로 존재하는지 등 … 더 읽기

[별별세미나] 우리는 디지털인문학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What Can We Do with Digital Humanities?) @20240321

안녕하세요,  “네트워크형 DH 교육 모델 개발”팀에서 올해 진행하고 있는 기획  ‘별별세미나(참여대학 별로 DH 세미나를 운영하여 연구와 교육 사례를 공유 확산)’에 관심있는 선생님들을 초대합니다. 지난 한양대 주최 첫 발표에 이어, 이번엔 가천대가 마련한 특강이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3월 21일(목) 5-7시 김병준(카이스트) 우리는 디지털인문학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What Can We Do with Digital Humanities?) (초록은 링크를 클릭해 … 더 읽기

[CFP] PNC 2024

PNC 2024 Annual Conference and Joint Meetings Green, Flow and Signal: Reconnecting Fragmented Communities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Submission Deadline: April 15 (Mon), 2024 (GMT+8) Acceptance Announcement for Abstract & IEEE Full Paper: June 5 (Wed), 2024 (GMT+8) Final Submission (IEEE Camera Ready): June 19, 2024 (GMT+8) Conference Date: August 29-31, 2024 (GMT+8) https://sites.google.com/view/pnc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