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인공지능, 인간과 기계의 의사소통 – 중앙대인문콘텐츠연구소+한국화법학회 연합학술대회

▸주 제 : 인공지능, 인간과 기계의 의사소통 ▸일 시 : 2023년 5월 13일(토) 10:30 ~ 18:00 ▸장 소 : 온라인(ZOOM 분과별 온라인 화상 회의실) 오전 제1분과 : https://us06web.zoom.us/j/9333153218 오전 제2분과 : https://us06web.zoom.us/j/6084678344 오후 1부 & 2부 : https://us06web.zoom.us/j/9333153218 ▸주 최 : 한국화법학회‧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세부 일정 : [한국화법학회] 제46회 한국화법학회 전국 학술대회 일정표.pdf 학술대회 자료집(PDF) 학술대회 전날(5월 12일, 금) 화법학회 홈페이지(http://www.koreaspeech.org/)에 탑재될 예정입니다.

[논문] Speak, Memory: An Archaeology of Books Known to ChatGPT/GPT-4

UC 버클리 정보학과의 Bamman 교수가 참여한 논문. 인공지능에게 소설 문장을 주고 주인공의 이름을 맞추는 (빈칸 뚫어 있는 것을 맞추기, fill-mask라고 불리는 task) 실험을 실시함. GPT4, ChatGPT, BERT 마다 정확도가 다른 것을 확인. 또한 유명한 소설이라고해서 정확도가 높지 않다는 것도 확인. In this work, we carry out a data archaeology to infer books that are known … 더 읽기

제8회 민연 젊은 한국학 아카데미(RIKS Academy) 모집공고

“이러한 학문적 흐름에 발맞추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은 젊은 한국학 연구자들의 소통과 교류를 위해 제8회 ‘민연 젊은 한국학 아카데미(RIKS Academy)’를 개최합니다. 2016년부터 포니정재단의 후원을 받아 운영해온 ‘민연 젊은 한국학 아카데미’는 한국학의 세계화와 다원화라는 장기적인 전망 아래, 신진 연구자들이 서로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전문성을 높일 기회를 제공해왔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학의 새로운 연구 성과를 확산하고 국제적인 한국학 연구 공동체를 … 더 읽기

Digital Humanities Summer Institute 2023

캐나다 빅토리아 대학에서 열리는 DH 여름학교 (Digital Humanities Summer Institute 2023). 북미 최대의 DH 학술 행사로 아래 링크에서 신청 가능. 양질의 DH 교육 프로그램이 다수. 일시 : 2023년 6월 5 ~ 9일 (오프라인), 12~16일(온라인) Digital Humanities Summer Institute (DHSI) | A Place for Open Digital Scholarship | 5-9 June on-campus | 12-16 June online

[DH 강연] Torsten Hiltmann, “Reimagining the Humanities in the Digital Age” (4/14)

안녕하세요, 한국연구재단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네트워크형 디지털 인문학 교육모델 개발” 연구팀에서는 개별 대학의 장벽을 넘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와 교육을 지향합니다. 최지명 선생님의 저자판별모델에 관한 강연 잘 마치고 두 번째 강연으로 넘어갑니다. 4/14 금요일, 오후 5~6시 Torsten Hiltmann (훔볼트 대학 역사학 연구소) Reimagining the Humanities in the Digital Age: A Holistic Approach to Teaching Data Literacy and … 더 읽기

DH Awards 2022 Results

DH Awards 2022 결과가 나왔습니다. 6개 분야(시각화, 데이터셋, 논문, 툴, 교육자료, Fun)에서 수상한 목록을 한번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DH Awards 2022 Results | Digital Humanities Awards 각 분야 1위 목록

[서적] 디지털로 읽고 데이터로 쓰다 – 디지털 한국어문학의 모색

6가지 주제에 맞춰 13명의 연구자가 쓴 글과 그들이 함께 토론한 내용을 담아낸 것으로서, 디지털 한국어문학 분야를 모색하는 본격적 출발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어학, 현대문학, 고전문학, 한문학, 문화연구 등 여러 한국어문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디지털 인문학 연구 ․ 교육의 경험은, 한 곳에 정리하기가 쉽지 않은 이야기들이다. 한국어문학 분야의 학술적 문제의식을 디지털 환경에서 전개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길잡이 역할을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