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EM Knowledge Graph Interface / 지식 그래프 인터페이스

GOLEM Knowledge Graph Interface

http://search.golemlab.eu:3006/

The “Graphs and Ontologies for Literary Evolution Models” (GOLEM) is a 5-year (2023-2027) research project fund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ERC StG). The GOLEM project models how narratives adapt across languages and cultures by developing an ontology that represents narratives independently of specific domains. To achieve this, GOLEM establishes a framework that defines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key narrative elements, such as characters, social relationships, and events. By employing ontology modeling, GOLEM offers a level of abstraction that facilitates the comparison of different stories, leading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narrative structures. In alignment with Linked Open Data principles, GOLEM is developed as an extension of CIDOC-CRM and LRMoo, two ontologies for cultural heritage, while aligning with the foundational ontology DOLCE-Lite-Plus (DLP).

Data

The current dataset for the GOLEM knowledge graph is based on fanfiction collected from Archive of Our Own (AO3), selected for its accessibility and comprehensive metadata system (Pannach et al., 2024a). Planned expansions in the future include narratives from other domains, such as folklore.

The GOLEM-UI search perspectives include four distinct views into the knowledge graph:

  • Metadata View: Overview of the associated metadata.
  • Fandoms View: Statistics on fandoms and associated stories.
  • Character View: A closer look into characters and their various romantic pairing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Harry Potter fandom (Potterverse).
  • Literary Quality View: Statistics on readability and literary quality of the stories.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knowledge graph and search interface, see our paper (Pannach et al., 2024b).

Access the SPARQL endpoint for the GOLEM knowledge graph and triple store.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ontology, visit the Golem GitHub, the Wiki, and the pyLODE-generated web page.

“문학 진화 모델을 위한 그래프 및 온톨로지”(GOLEM)는 유럽 집행위원회(ERC StG)가 자금을 지원하는 5년(2023-2027년) 연구 프로젝트입니다. GOLEM 프로젝트는 특정 분야에 독립적으로 서사를 표현하는 온톨로지를 개발하여, 서사가 여러 언어와 문화에 걸쳐 어떻게 변용되는지를 모델링합니다. 이를 위해 GOLEM은 등장인물, 사회적 관계, 사건과 같은 주요 서사 요소 간의 상호관계를 정의하는 프레임워크를 구축합니다. 온톨로지 모델링을 통해 GOLEM은 다양한 이야기를 비교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추상화 수준을 제공하며, 이는 서사 구조에 대한 더 깊은 이해로 이어집니다. 링크드 오픈 데이터 원칙에 따라 GOLEM은 문화유산을 위한 두 가지 온톨로지인 CIDOC-CRM과 LRMoo의 확장으로 개발되며, 동시에 기초 온톨로지인 DOLCE-Lite-Plus(DLP)와 연계됩니다.

데이터

GOLEM 지식 그래프의 현재 데이터셋은 접근성과 포괄적인 메타데이터 시스템으로 인해 선택된 Archive of Our Own(AO3)에서 수집된 팬픽션을 기반으로 합니다 (Pannach 등, 2024a). 향후 계획된 확장에는 민담과 같은 다른 영역의 서사가 포함될 예정입니다.

GOLEM-UI 검색 관점은 지식 그래프에 대한 네 가지 개별 뷰를 포함합니다:

  • 메타데이터 뷰: 연관된 메타데이터 개요.
  • 팬덤 뷰: 팬덤 및 관련 이야기에 대한 통계.
  • 캐릭터 뷰: 등장인물과 그들의 다양한 로맨틱 페어링에 대한 심층 분석, 특히 해리포터 팬덤(포터버스)에 중점을 둡니다.
  • 문학적 품질 뷰: 이야기의 가독성 및 문학적 품질에 대한 통계.

지식 그래프 및 검색 인터페이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저희 논문(Pannach 등, 2024b)을 참조하십시오.

GOLEM 지식 그래프 및 트리플 스토어를 위한 SPARQL 엔드포인트에 접속하십시오.

온톨로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Golem GitHub, Wiki 및 pyLODE로 생성된 웹 페이지를 방문하십시오.

  • 번역: Gemini 205 Pro(preview) 2025.05.16.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