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Digital Humanities, KADH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디지털 환경과 데이터 처리 기술을 매개로 수행하는 새로운 방식의 인문학 연구와 교육을 말합니다.

About KADH

시뮬레이션 역사학의 가능성 – Fantasy Map Simulator

역사를 기반으로 하는 수 많은 시뮬레이션 게임들이 있다. 문명, 월드박스, 하츠오브아이언 등등. 정치체계부터 경제, 군사, 문화 등등 다양한 요소들이 점차 복잡하게 반영되고 있지만, 아직은 역사학자들의 마음을 충족하기에는 어렵다. 다만, 거시적인 설정 뿐만이 아니라, 인간 개인개인 단위로의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진다면, “역사에 가정은 없다.”를 누구보다 부정하지만, 누구보다 즐기는 사람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을까?

[뉴스] 디지털 인문학은 얼마나 넓고 깊을까…정기 학술대회 열린다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KADH)에서 주관하는 이번 학술대회는 매년 가을 해당 협의회에서 개최하는 정기 디지털인문학대회로서, 올해는 〈디지털 인문학의 넓이와 깊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의 학술장 내 디지털 인문학의 현 위치와 미래를 전망하고, 이를 통해 연구의 확산과 심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어학, 문학, 역사학, 철학 등 개별 인문학 분야에서 디지털 인문학적 문제의식을 적극적으로 전개 중인 여러 연구자들의 발표를 통해서는,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 Read more

[학술대회] AI & Humanities @경북대 2024.12.23.

포스트 인문학을 위한 특별 심포지움 AI & Humanities @경북대 2024.12.23. 일시: 2024.12.23.(월) 16:00~18:00 장소: 인문한국진흥관 B102호 학술세미나실 권순재: Automatic knowledge base construction 임성빈: Large Language Model & Causality 김바로: AI 시대의 인문학 기반 시맨틱 웹

[학술대회] 동아시아 한문고전 연구의 제 양상 @단국대학교 2024.12.19.

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에서 개최하는 <제4회 한연(漢硏) 국제 컨퍼런스>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제4회 한연(漢硏) 국제 컨퍼런스> 이번 학술대회는 ‘동아시아 한문고전 연구의 제 양상’이라는 주제로 많은 발표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포스터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뜻깊은 학술대회가 개최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thinking ‘Sinicization’ through Data: A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for Yuan Dynasty Studies

독일 Digitale Geschichtswissenschaften an der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베르린 홈볼트 대학 디지털 역사학”) 주최로 개최되는 온라인 학술 발표입니다. 발표제목: “데이터를 통해 보는 ‘한화’ 문제의 재검토: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원대사 연구(Rethinking ‘Sinicization’ through Data: A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for Yuan Dynasty Studies)”발표자: Wonhee Cho (조원희, 연세대학교 사학과) 발표 요지: This presentation revisits the concept of “Sinicization” … Read more

[콜로키움] 우리가 디지털 인문학으로 할 수 있는 것: 데이터 구축에서 LLM/RAG 활용까지 (241206)

강연제목 : 우리가 디지털 인문학으로 할 수 있는 것: 데이터 구축에서 LLM/RAG 활용까지 발표자: 김병준(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주최 : 서강대 디지털인문학연계전공/ 디지털역사연구소 일시 : 2024년 12월 6일 14시 ~ 16시 장소: 서강대학교 정하상관 610호 문의: lunarpath74@gmail.com

[학술대회] AI×人文学 ーデータ駆動による未来形成ー(AI×인문학 -데이터 구동에 의한 미래 형성)

데이터 구동에 의한 과제 해결형 인문학의 창성~데이터 기반의 구축·활용에 의한 차세대형 인문학 연구의 개척~KICKOFF SYMPOSIUM「AI×인문학 -데이터 구동에 의한 미래 형성-」 (구글 번역) 일시: 2024년 12월 1일(일) 13:00~16:10(접수 개시:12:30) 회장: 이치바시 대학 이치바시 강당(도쿄도 치요다구 이치츠바시 2-1-2)/온라인 동시 전달 있어주최 : 대학공동이용기관법인인간문화연구기구 국문학 연구 자료관후원 : 문부 과학성 / 일본 학술 회의 / 정보 · 시스템 연구기구 / 괴테 대학 … Read more

단국대, SW/AI 교육 전담 교수 제도 도입

“2단계 사업을 통해 단국대는 17개 단과대학에 AI-PD교수 310명을 배치하고 총 19개의 필수교양 교육과정을 새로 개발했다. 2025년부터 연간 3천 명 이상이 SW/AI 교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최소 96개 분반을 운영할 계획이다. 새로 도입되는 SW/AI 교과목은 △LLM기반 서비스 개발의 이해(SW융합대학) △인공지능과 인문학(문과대학) △챗GPT와 디지털 윤리(음악예술대학) △AI를 활용한 스포츠 코칭(스포츠과학대학) △경영 경제분야 AI활용 입문(경영경제대학) △교육과 인공지능(사범대학)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