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Digital Humanities, KADH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디지털 환경과 데이터 처리 기술을 매개로 수행하는 새로운 방식의 인문학 연구와 교육을 말합니다.

About KADH

[포럼] 한문 고전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수용 추세와 미래 전망 @단국대학교 2025.06.10.

한문교육연구소 제18회 한연포럼에 대해 안내 드립니다. 이번 포럼은 ‘한문 고전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수용 추세와 미래 전망’이라는 중요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참석자 여러분께 유익한 시간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자세한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강의 주제: 한문 고전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수용 추세와 미래 전망 -강의 일정: 2025.06.10.(화) 오후 4시 -강의 장소: 인문관 402호 & Webinar Zoom (ID: 545 126 … 더 읽기

생성형 및 양자 컴퓨팅의 미래

이 자료들은 IBM 연구진들의 발표 내용을 담고 있으며, 계산의 미래와 관련된 혁신을 강조합니다. 특히, 거대 언어 모델(LLMs)과 같은 인공지능 분야에서의 발전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서 벗어나 제너레이티브 컴퓨팅으로 전환함으로써 효율성과 보안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양자 컴퓨팅의 최신 성과와 함께, 양자 이점을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과 고성능 컴퓨팅 및 인공지능과의 결합을 통한 양자 중심 슈퍼컴퓨팅의 중요성을 논의합니다. 궁극적으로 … 더 읽기

잘 가… Stack overflow

https://blog.pragmaticengineer.com/stack-overflow-is-almost-dead Stack Overflow(SO)는 개발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서 그 위상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을 논합니다. Stack Overflow 커뮤니티는 매우 친절하고 도움이 되었으며, 본질적으로 무료로 일해왔습니다. 며칠이 걸릴 수 있는 많은 버그들이 결국 SO를 통해 해답을 찾았습니다. 그러나 ChatGPT와 같이 몇 분 안에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AI 도구의 등장으로 SO의 관련성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SO의 엄격한 규칙과 … 더 읽기

[Conference] “AI and the Digital Humanities” (The Digital Orientalist, May 31)

The following is the schedule of the Digital Orientalist’s 2025 Virtual Conference “AI and the Digital Humanities for the Study of Asia, Africa, and Oceania” happening on May 31, 2025 from 9.30AM CEST. You can find titles and abstracts here; the conference is open to anyone, please register here. The details provided here are subject … 더 읽기

GOLEM Knowledge Graph Interface / 지식 그래프 인터페이스

GOLEM Knowledge Graph Interface http://search.golemlab.eu:3006/ The “Graphs and Ontologies for Literary Evolution Models” (GOLEM) is a 5-year (2023-2027) research project fund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ERC StG). The GOLEM project models how narratives adapt across languages and cultures by developing an ontology that represents narratives independently of specific domains. To achieve this, GOLEM establishes a framework … 더 읽기

수준 이하의 논문은 공공데이터와 생성AI 탓?!

동아사이언스. “수준 이하 과학논문 급증…공공데이터·AI 활용 탓”. 2025.05.15.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71682 그 결과 사이언티픽 리포츠, BMC 공중보건, BMJ 오픈 등을 포함한 147개 학술지에 341편의 유사한 논문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논문 발표가 급증하기 시작한 시점 챗GPT와 같은 AI 챗봇이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돈을 받고 논문을 제작해 연구 실적을 올려주는 조직인 ’논문 공장(paper mill)‘의 활동이 이 시기 활발해졌다는 점도 저품질 논문이 … 더 읽기

편향 측정 데이터셋: Shades of Bias in Text Dataset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s)은 많은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지만, 훈련 데이터에 존재하는 사회적 편견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측정하고 통제하며 완화하기 위한 자원은 제한적입니다. 스테레오타입 편견을 식별하고 완화하는 연구는 주로 영어에 집중되어 왔으며, 다국어 환경에서 LLM의 급속한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AI 시스템에서 스테레오타입 편견을 감지하는 능력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 더 읽기

[CFP] 2025 ICLA Congress

Revised Call for Papers for Host Sessions (Korean Students and Scholars Only) 링크: https://icla2025-seoul.kr/en/notice/press-and-reviews/01JTVEPNM8FZ3Q839SCW0ZP2DK 한국인 학생과 한국인 학자만의 그룹/개별 Call for Papers를 공지합니다. (Notice 39 를 함께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evised Call for Papers for Host Sessions (Korean Students and Scholars Only) Host Sessions (Korean Students and Scholars Only) K1. Group Proposals K2. Free Individual Proposals … 더 읽기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인문학 데이터지원 대상자료 연계 과제 수요조사 안내

신청링크: https://nl.go.kr/rink/contents/R10202000000.do 바로: 여러분들…당장 쓰지 않더라도, 많이 귀찮으시더라도, (일단 무지성으로) 많은 신청을 해주시면, 담당자가 행복하고, 오픈 데이터의 미래도 열립니다!! 안녕하십니까, 국립중앙도서관 연구정보실입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장서를 활용한 국내외 연구자의 학술연구활동을 지원하고, 연구자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연구정보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연구자 및 차세대연구자의 디지털인문학 융합연구 지원을 위해, ‘2025 고문헌(근대자료) 원문텍스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의 데이터를 활용한 연계 과제 … 더 읽기

누리IDT 고문헌 漢字 시스템

https://ocr.nuriidt.co.kr 누리IDT 고문헌 한자 시스템은 고문헌 한자에 특화된 문자 인식 AI 모델을 사용하여 한자 텍스트를 추출합니다. 또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문자를 추출하고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하는 고문헌 OCR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띄어쓰기가 없는 고문헌 한문을 의미적으로 분절하여 표점을 찍어줌으로써 문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자동표점과 자동번역은 제약이 있기는 하지만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OCR은 구매를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