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한림과학원 디지털인문학 심포지엄
일시 : 2024년 5월 17일 금 13:50~18:00 장소 : 한림대학교 인문대학 강당(인문1관 4406호), 한림과학원 Youtube 실시간 스트리밍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디지털 환경과 데이터 처리 기술을 매개로 수행하는 새로운 방식의 인문학 연구와 교육을 말합니다.
About KADH일시 : 2024년 5월 17일 금 13:50~18:00 장소 : 한림대학교 인문대학 강당(인문1관 4406호), 한림과학원 Youtube 실시간 스트리밍
http://semacoral.org/ 서울시립미술관 소속 연구실인 세마코럴(SeMA Coral)에 대한 소개입니다. 세마코럴이 무엇인지, 무엇을 하는지 설명합니다. 또한 세마코럴에서 진행된 연구 프로젝트 중 일부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중요한 내용 중 일부는 세마코럴이 예술가와 연구원이 예술에 대한 지식을 탐구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것입니다. 또 다른 중요한 점은 세마코럴이 협력 연구에 관심이 있다는 것입니다.(by gemini advanced)
https://goodlifearchive.kr 이 기사는 공동주택 거주자들에게 좋은 삶이 무엇인지, 어떤 공간이 평화를 조성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다룹니다. 거주자들은 자신의 희망과 꿈에 대한 질문에 답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좋은 삶은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일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지지적인 관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합니다.(by gemini advanced)
https://ydmemory.com/ 이 사이트는 부산 연도구의 역사와 문화를 다룬 사이트입니다. 연도구청에서 만든 사이트입니다. 연도에 거주하거나 거주했던 사람들의 이야기와 추억을 담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는 역사 유적지 및 문화 행사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by gemini advanced)
“누리IDT의 고성능 〈자동 표점 서비스〉는 이러한 표점 작업을 AI가 빠르고 정확하게 자동 처리해 준다. 누리IDT는 이를 위해 트랜스포머 계열의 최신 자연어처리(NLP) 모델로 1억 자 이상의 한문 데이터를 학습시킨 자동 표점 AI 모델을 개발하고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공개했다. 1,000자 분량의 한문 원문 텍스트를 입력하면 1초 이내에 표점 처리해 주며, 표점의 정확도는 90% 이상으로 관련 … 더 읽기
디지털인문학계의 신생저널인 <Journal of Open Humanities Data(SCOPUS/ESCI)>에서 원고를 모집하네요. Submission deadline:1 June 2024 (abstracts due) 1 December 2024 (full papers due, upon abstract acceptance) The new field of data-driven history of ideas combines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computational methods for the study of the origins, development and spread of ideas from any time and place. It … 더 읽기
5월 11일 한양대에서 진행하는 별별세미나에 초대 및 안내드립니다.이번 세미나는 원 제국 ‘한화’에 대한 네트워크 연구와 한국 고전 한문 자료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주제로 진행하려 합니다.세부 내용은 포스터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날짜, 시간 : 2024.05.11(토) 오전 10~12시발표자 : 조원희(연세대), 이민우(안동대) 줌 링크 : https://us02web.zoom.us/j/6597801717?pwd=ZGpDTGNwQzFHdmFzWnFDK1kxckJzZz09 회의 ID: 659 780 1717암호: 1234
동아시아 고지도 컬렉션/동북아역사재단: http://contents.nahf.or.kr/oldmap 소개 「동아시아 고지도 컬렉션」은 동아시아를 대상으로 하는 고지도와 근대지도를 한눈에 열람할 수 있는 지도자료 컬렉션입니다. 현재 동아시아 고지도를 소장하고 있는 여러 기관의 자료를 메타데이터 연계방식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산재된 고지도·근대지도를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 열람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동일한 지역에 대한 시각적 비교를 통해 제작 당시의 역사·지리 인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아시아 … 더 읽기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새로운 교육 시리즈인 <선행 온톨로지 모델 리뷰> 과정이 유튜브 및 위키독스에 모두 업로드되었습니다. 디지털 아카이브와 온톨로지 개념을 학습하고 더블린코어(DC)를 비롯한 주요한 선행 온톨로지 모델을 소개하는 자료입니다. https://wikidocs.net/book/8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