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계환 / 삼국유사의 불교무형문화유산 DB구축 연구 / 2024년도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명계환 / 동국대학교 / 인문학 / 삼국유사의 불교무형문화유산 DB구축 연구 / 2024년도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예비선정

연구목표:

[연구목적]
이 연구는 󰡔삼국유사󰡕 9편목 138조목에 담긴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종목과 내용에 관한 DB 구축으로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 발전과 한국 불교무형문화유산의 관심과 부흥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표]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 가지의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목표 ①
먼저“불교무형문화유산 종목 분류표(본 연구계획서, pp.11-12. 참조)”의 유형범주(대분류) 따라 1년 차(의례 의식) / 2년 차(전통 기예, 전통 관습) / 3년 차(수행 관습, 구전 전통 및 기타 불교무형문화유산)로 크게 3년 차로 나눈다.

목표 ②
󰡔삼국유사󰡕에“불교무형문화유산 종목 분류표”의 유형범주(대분류), 유형항목(중분류), 세부종목(소분류)을 년 차별로 적용하여 불교무형문화유산 검색 빈도수와 이와 관계한 내용의 비중을 정량적으로 파악한다.

목표 ③
그 다음 󰡔삼국유사󰡕의 불교무형문화유산을 종목, 내용, 시대(왕)별로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역사적, 문화적, 현실적 가치를 논증한다.

기대효과: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이 연구의 성공적인 성과 속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

① [국내적] : 󰡔삼국유사󰡕의 새로운 학문적 분야의 전문적 고찰로서 종합적 연구 발전과 긴밀한 학제 간의 접근으로 삼국유사학과 한국 인문학의 양적·질적 발전의 순기능적 토대를 구축할 수 있다.
② [국내적] : 불교무형문화재의 복원·재현양상과 변화추이 등을 기록하여 무형문화재 보존과 전승을 위한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
③ [국외적] : 이 연구는 󰡔삼국유사󰡕의 연구 가치를 높이고 풍부하게 만들어서 중국 3대 학문인 둔황학(敦煌學), 장학(藏學·티베트학), 홍학(紅學·홍루몽 연구)처럼 세계 학계가 함께 연구하는 주요 테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기여가 있다.

  1. 사회적 기여도
    ① [국내적] 󰡔삼국유사󰡕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역사적, 문화적, 현실적 가치를 증명으로 그동안 전통적으로 전승되어 온 무형문화재 전승의 변질 내지는 단절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불교무형문화자산의 소멸을 대비해 후대의 전승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전승교육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
    ② [국내적] 역사적·학술적·예술적 가치가 뛰어난 불교무형문화유산은 국가 및 지방문화재로 지정 관리 및 활용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고 불교무형문화유산 전승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수립이 가능하다.
    ③ [국외적] 연구 결과로 예상되는 불교 설화, 민간전승, 시가, 산신신앙, 조왕 기도, 공양, 다비, 세시 풍속(상원, 단오), 불교 고유의 정신은 또 하나의 K-정서(emotion)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역사, 문학, 문화 예술 등의 종합적 가치를 지녀서 우리 민족뿐 아니라 세계의 문화자산이 되기에 손색이 없다. 따라서 󰡔삼국유사󰡕전 세계 대중에게 정신적 글로컬리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사회적 기여가 크다 할 것이다.

연구요약:

[연구목적]
이 연구는 󰡔삼국유사󰡕 9편목 138조목에 담긴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종목과 내용에 관한 DB 구축으로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 발전과 한국 불교무형문화유산의 관심과 부흥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요성 ①
󰡔삼국유사󰡕는 우리 민족의 시원과 자취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만 아니라 고대 우리 민족의 불교 신앙, 사상, 수행, 전통, 예술, 기예, 의식, 구전설화, 민간전승 등 불교무형문화와 관련한 기록이 역사의 전개 과정과 연결되어 다량으로 수록되어 있다.
󰡔삼국유사󰡕의 불교무형문화유산 DB구축 연구는 새로운 학문적 분야의 전문적 고찰로서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 발전과 학제간에 긴밀한 접근을 위해 꼭 필요하다.

필요성 ②
2024년 현재 유형문화재 국보 350건 중 불교문화재는 182(53.7%)건, 보물은 2,293건 중에서 1,320(57.5%)건으로 전체 문화재 비율에서 불교가 절반을 넘는다. 반면 국가무형문화재 153개 중 불교무형문화재가 9개로 5.8%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불교무형문화유산 조사연구에 관한 관심과 주의의 부족함이 그 원인이다.
무형문화재는 유형문화재와는 달리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무형문화재의 재현과 복원의 기록’, ‘과거와 현재에 이르는 변화양상의 기록’이 서로 맞물려 기록되어야 한다. 󰡔삼국유사󰡕에는 불교무형문화와 관련한 기록이 역사의 전개 과정에 따라 다량으로 수록되어 관련성이 크다.
국가적 보호와 지원이 절실한 한국 불교무형문화유산의 관심과 부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삼국유사󰡕의 불교무형문화유산 DB 구축 연구는 꼭 필요하다.

 [연구목표]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 가지의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 먼저“불교무형문화유산 종목 분류표(본 연구계획서, pp.10-11. 참조)”의 유형범주(대분류) 따라 1년 차(의례 의식) / 2년 차(전통 기예, 전통 관습) / 3년 차(수행 관습, 구전 전통 및 기타 불교무형문화유산)로 크게 3년 차로 나눈다.

② 󰡔삼국유사󰡕에“불교무형문화유산 종목 분류표”의 유형범주(대분류), 유형항목(중분류), 세부종목(소분류)을 년 차별로 적용하여 불교무형문화유산 검색 빈도수와 관련 내용의 비중을 정량적으로 파악한다.

③ 그 다음 󰡔삼국유사󰡕의 불교무형문화유산을 종목, 내용, 시대(왕)별로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역사적, 문화적, 현실적 가치를 논증한다.

[주요 연구내용]
󰋼 종목별 : “불교무형문화유산 종목 분류표”에 따라 검색 빈도수와 이와 관계한 내용의 비중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현재 유지해야 할 당위성을 주장하거나, 또는 사장될 우려가 있는 불교무형문화유산을 발굴한다.

󰋼 내용별 : “불교무형문화유산 종목 분류표”에 따른 󰡔삼국유사󰡕 본문의 검색 빈도수와 이와 관계한 내용의 비중이 큰 것을 파악한 후 이후 빈도수가 높은 이유와 근거, 사례와 예시 등으로
불교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논증한다.

󰋼 시대(왕)별 : 시대와 왕에 따른 역사적, 문화적 분위기를 파악하여 불교무형문화유산 유지, 전승에 필요한 학문적 토대와 바탕을 논증한다.

④ [연구추진일정] :예시 -1년 차(의례 의식)

2024.
6.~7.“불교무형문화유산 종목 분류표”의 “의례의식”에 관한 모든 종목을 󰡔삼국유사󰡕에 적용하여 불교무형문화유산 검색 빈도수와 관련 내용의 비중을 정량적으로 파악

8.~12.“불교무형문화유산 종목 분류표”의 “의례의식”에 관한 모든 종목을 󰡔삼국유사󰡕에 적용하여 불교무형문화유산에 비중이 높고 낮은 종목, 내용, 시대(왕)별로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역사적, 문화적, 현실적 가치를 논증

2025.
1.~3. 연구논문 작성:“󰡔삼국유사󰡕의 불교무형문화유산 연구 -의례의식을 중심으로(안)”

  1. 논문 발표 / 주요 전공자와 공유 및 평가 의견 수렴 / 연구논문 최종 수정 · 보완 후 제출
  2. 연구성과 확산(대면・비대면 강의/ 이후 평가에 대한 재설문조사)

*2~3년 차는 1년 차와 동일

키워드:

󰡔삼국유사 (三國遺事)󰡕, 불교무형문화유산, DB, 불교무형문화유산 종목 분류표, 의례의식, 전통기예, 전통관습, 수행관습, 구전전통

󰡔Samguk Yusa (三國遺事)󰡕,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tabase, Classification Table of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itual Ceremony, Traditional Skills, Traditional Practices, Performance Practices, Word of mouth Tradition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