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고전 데이터 모델링 콜로키움 2
일시 : 230901 금요일 15:00~18:00 장소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지훈회의실 B203
The KADH aims to take the lead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by actively engaging in research and education activities, and internationally, to suggest ways to develop the global digital humanities community based on our unique academic experiences and achievements.
About KADH일시 : 230901 금요일 15:00~18:00 장소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지훈회의실 B203
– 일시: 2023년 8월 25일 금요일 오후 15:00~17:00 – 장소: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사범관 504호 – 주제: 한국문집총간 XML 구조 이해와 Python을 활용한 파싱 실습 – 강연자: 김병준(KAIST) Zoom https://us02web.zoom.us/j/5451262790?pwd=N0JRb3B1R2cxTjdCVEhJS2xNNkdMQT09
https://mp.weixin.qq.com/s/LYamw7Jqt0pock_83KtInw Date and Time:August 26, 2023, from 19:30 to 22:00, CST (한국시간: 8월 27일 오전 09:30 – 오후 12:00) Bilibili Live Stream Link:https://live.bilibili.com/22241979 Student Team Project Summaries In Chinese:https://camp2023.pkudh.org/topics.html In English:https://camp2023.pkudh.org/en/topics.html
“즉 DH에서 연구자가 자신의 주장을 논증하는데 데이터는 꼭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인문학 연구에서 사료나 선행연구가 아닌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는 일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DH 연구에서 연구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고 있다. 이는 두 가지 문제를 낳는데 하나는 연구 재현성의 부족이며 또 다른 하나는 다른 연구로 파생할 수 있는 DH의 장점을 막는 문제이다.” 김병준(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 Read more
https://hss.kaist.ac.kr/boards/view/news_event/230
GPT 3.5 버전을 활용한 텍스트에서 지식 그래프 자동 추출하는 서비스. 한국어도 활용 가능. 🦜🔗 Text-to-graph extraction · Streamlit (auto-graph.streamlit.app) This playground explores the use of OpenAI functions and LangChain to build knowledge graphs from user-input text. It breaks down the user input text into knowledge graph triples of subject (primary entities or concepts in a sentence), predicate (actions or … Read more
데이터 논문 vs 전통적인 연구 논문 “Should you publish a #datapaper or a #researchpaper first?” Data Paper vs. Traditional Research Paper: Expert Discussion at the Journal of Open Humanities Data – YouTube
2023학년도 2학기,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박수민 교수님 GitHub – suparklingmin/LingDataSci2023: 언어데이터과학 (2023학년도 2학기,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https://mimotext.github.io/MiMoTextBase_Tutorial/ 프랑스 계몽주의 소설에 대한 wikbase를 기반으로 SPARQL로 질의를 하고, 그 결과를 다양한 방식(지도, 그래프 등)으로 시각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서비스.
지난 7월7일 강독회에 이어 두번째 여름 논문강독회를 마련하고자 합니다.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계산의미론연구실(aka 송랩)과 (주)나라지식정보가 함께 준비합니다. ◎ 일시: 2023년 8월 31일 목요일 오후 3시~ (2~3시간 소요 예정) ◎ 방식: 온라인 및 오프라인 – 온라인 참가 신청: https://forms.gle/s1jqqPivgQLJNft86 (이메일로 추후 줌 링크를 전달드리겠습니다.) – 오프라인은 고려대학교 인근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오프라인 현장 참석을 원하시는 분께는 별도의 장소 안내 드리겠습니다. ◎ 강독 논문 … Read more